Loading...

빈백에 파묻혔다. 지휘자가 다가왔다. 오케스트라가 몰려왔다 [스프]

[커튼콜+] '내돈내산' 에든버러 페스티벌 후기...명성엔 이유가 있다
에든버러 페스티벌
오케스트라 콘서트가 열리는 공연장의 풍경은 어디서나 비슷합니다. 무대는 객석보다 높은 위치에 있고, 지휘자는 객석을 등지고 서서 오케스트라를 지휘합니다. 단원들은 지휘자를 중심으로 반원 형태로 앉아 현악기, 관악기, 타악기 순으로 배치됩니다. 조명은 무대를 환하게 비추고 객석은 어둡습니다. 관객들은 여러 줄로 늘어선 좌석에 앉아 거의 움직이지 않은 채 무대를 주시합니다.

그런데 제가 지난달 에든버러 국제페스티벌에서 만난 〈쇼스타코비치 인사이드 아웃〉은 전혀 다른 풍경이었습니다. 공연장인 에든버러 어셔홀 1층 좌석이 모두 치워지고, 그 자리를 알록달록한 빈백(beanbag: 작은 충전재가 가득 들어 있어 앉는 사람의 자세에 따라 형태가 달라지는 1인용 소파)들이 가득 채웠습니다. 관객들은 자유롭게 빈백에 눕거나 기대앉았습니다. 이 공연은 올해 페스티벌이 마련한 '빈백 콘서트' 시리즈 가운데 하나였습니다.
에든버러 페스티벌
하지만 이 공연의 특별함은 빈백에만 있지 않았습니다. 오로라 오케스트라 단원들은 부피가 큰 타악기 주자들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무대 위가 아닌 객석으로 입장했습니다. 이들은 관객 사이사이에 흩어져 서 있었고, 지휘자 니콜라스 콜론은 그 한가운데 자리 잡았습니다.
에든버러 페스티벌
프로그램은 쇼스타코비치 교향곡 5번이었습니다. 지휘자는 청중 속을 오가며 음악의 구조와 시대적 맥락을 설명했습니다. 단원들은 보면대 없이 선 채로, 모두 암보로 이 대곡을 연주했습니다. 암보 연주는 오로라 오케스트라만의 특징입니다. 창단 초기부터 모든 단원이 악보를 외워 연주하는 방식을 고수해 왔기에, 오케스트라 단원들 모두가 지휘자만큼이나 곡 전체를 세세히 파악하며 연주할 수 있다는 겁니다. 연주와 해설은 자연스럽게 교차했고, 자칫 지루하게 느껴질 수 있는 이 대곡이 흥미롭고 독특한 경험으로 다가왔습니다.

저는 늦게 예매한 탓에 아쉽게도 빈백이 아닌 2층 일반 객석에서 이 공연을 봤습니다. 하지만 연주자와 지휘자, 그리고 관객들이 1층에 한데 어우러져 있는 모습을 내려다보는 것만으로도 색다른 경험이었습니다. 통상의 음악회라면 관객들은 무대만 바라보며 거의 움직이지 않고 앉아 있게 마련이지만, 빈백에 자리한 관객들은 자유롭게 자세를 고치고 시선을 옮기며 연주를 즐겼습니다. 연주자들이 관객을 옆과 앞, 뒤에서 둘러싸고 있었기 때문이죠.

'인사이드 아웃(Inside Out)'은 말 그대로 안에 있던 것을 밖으로 드러낸다는 뜻이니 속속들이 보여준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지휘자의 재치 있는 해설과 연주가 관객 사이에서 펼쳐지면서, 관객들은 쇼스타코비치 음악을 속속들이 즐길 수 있었습니다. 또 단원들의 표정과 몸짓, 악기의 움직임을 코앞에서 볼 수 있었으니 오케스트라의 속살을 드러낸 공연이기도 했습니다. 현지 언론은 이를 "몰입적이고 새로운 청취 경험"이라고 칭찬하며, 기존 공연장의 층위 구조를 해체한 성공적인 실험으로 평가했습니다.

에든버러 국제페스티벌이 이런 과감한 시도를 처음 한 것은 아닙니다. 페스티벌 측은 이 프로그램이 이반 피셔가 이끄는 부다페스트 페스티벌 오케스트라(BFO)의 시도에서 영감을 받아 기획되었다고 밝혔습니다. 실제로 이반 피셔와 BFO는 2023년 에든버러 무대에서도 빈백 콘서트를 선보여 큰 호응을 얻었습니다.

▶ BFO 미드나잇뮤직 소개영상

이반 피셔는 이미 2010년대 초부터 BFO의 〈미드나잇 뮤직(Midnight Music)〉 시리즈에서 이런 형식을 실험했습니다. 관객이 빈백에 앉거나 눕고, 연주자들이 청중 속으로 들어가 연주하며, 지휘자는 마이크를 들고 직접 해설을 곁들이는 방식입니다. '미드나잇 뮤직'은 제목처럼 밤 11시 반에 시작해 자정을 넘어 끝나는데, 젊은 관객들에게 인기가 높습니다. 피셔는 2014년 베를린 콘체르트하우스 오케스트라에서도 '미텐드린(Mittendrin, 한가운데)'이라는 이름으로 비슷한 공연을 시작했습니다.

생각해 보니 저도 2016년 오스트리아 여행 중에 비슷한 형식의 공연을 본 기억이 있습니다. 빈 심포니가 빈 콘체르트하우스에서 차이콥스키 교향곡 5번을 연주한다는 공연을 예약했는데, 현장에 가보니 1층 객석 의자가 모두 치워지고 그 자리를 다양한 형태의 임시 의자들이 채우고 있었습니다.

공연이 시작되자 지휘자 미하일 잔데를링과 빈 심포니 단원들이 객석으로 입장해 관객들 사이로 흩어져 연주했습니다. 사방에서 동시에 밀려드는 음향은 파도처럼 제 몸을 흔들었고, 악기의 진동과 연주자의 숨결까지 피부로 전해졌습니다. 지휘자는 중간중간 곡 해설을 곁들였고, 관객들에게 자리를 옮겨 다른 악기 소리를 가까이에서 들어보라고 권했습니다.

휴식 시간에는 단원들이 가까이 앉은 관객들에게 악기를 보여주고 소리를 들려주며 대화를 나눴습니다. 저는 호른 주자 옆에 앉아 있다가 첼로 주자 옆으로 자리를 옮겼습니다. 좋아하는 첼로 소리를 더 가까이서 듣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공연이 끝난 후에는 특별 제작한 판지 의자를 관객들이 기념품처럼 가져갈 수 있다고 안내받았습니다. 제가 빈에 살았다면 아마 가져왔을 것입니다. 즐거워하며 의자를 들고 가는 관객들의 모습을 보면서, 저 역시 절로 미소를 짓게 되었습니다.
에든버러 페스티벌
에든버러에서 빈백 콘서트를 본 뒤 자료를 찾아보니, 당시 제가 본 공연이 빈 심포니의 〈Im Klang(임 클랑: 소리 속에, 소리 안에서)〉 시리즈 첫 무대였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름은 조금씩 다르지만, 관객과 연주자가 섞이고 관객이 말 그대로 소리의 한가운데에 있게 한다는 점은 동일합니다. 최근 연극과 뮤지컬에서 인기를 끄는 '이머시브(immersive)' 공연과도 맞닿아 있습니다. 이머시브 공연에서는 무대와 객석의 경계가 없고, 관객이 극 속으로 들어가게 되죠. 클래식 음악계 역시 나름의 이머시브 형식을 시도해 온 셈입니다.

(남은 이야기는 스프에서)

더 깊고 인사이트 넘치는 이야기는 스브스프리미엄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이 콘텐츠의 남은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하단 버튼 클릭! | 스브스프리미엄 바로가기 버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아이콘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