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원민경, 첫 행보로 디성센터 방문…"피해자 중심 대응체계 강화"

원민경, 첫 행보로 디성센터 방문…"피해자 중심 대응체계 강화"
▲  11일 원민경 여가부 장관(가운데)이 서울 중구 중앙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를 찾았다.

원민경 여성가족부 장관이 취임 후 첫 현장 일정으로 서울 중구 중앙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를 찾아 "현장에서 피해자 곁을 지키는 직원들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인력과 예산 지원을 약속했습니다.

이번 방문은 현장 의견을 청취하고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를 지원하는 직원들을 격려하기 위해 이뤄졌습니다.

중앙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는 한국여성인권진흥원 내 설치된 기관으로, 2018년부터 디지털 성범죄 피해 상담, 불법 촬영물 삭제 지원, 법률·수사·의료 연계 서비스를 제공했습니다.

올해 4월부터 개정된 '성폭력 방지 및 피해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국내외 협력 체계 구축, 지역 센터 지원, 교육·컨설팅 등 기능이 강화되면서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보호·지원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원 장관은 "장관으로 임명된 후 첫 행보로 이곳을 찾으니, 변호사 시절 n번방 사건 피해자 변호인단으로 활동했던 기억이 떠올라 감회가 새롭다"고 운을 뗐습니다.

그는 이어 "피해자의 고통을 직접 지켜보며 피해 영상물을 신속히 삭제해 유포를 막는 일이 얼마나 중요한지 절실히 깨달았다"며 "디지털 성범죄는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해 사진 한 장으로도 딥페이크 성범죄물이 제작되는 등 기술 발전과 함께 수법이 날로 진화하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그러면서 "새로운 국민주권정부에서는 모두가 안전한 일상을 누리도록 젠더폭력 대응 체계를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며 "피해 지원·수사·유통 방지 등을 아우르는 피해자 중심의 원스톱 대응 체계를 신속히 구축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고 말했습니다.

원 장관은 센터 직원들을 향해서는 "국민의 삶에 실질적인 변화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제도와 정책뿐 아니라 현장에서 피해자 곁을 지키는 직원들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디성센터 직원들이 자부심을 갖고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인력과 예산을 꼼꼼히 챙기겠다"고 말했습니다.

또 "재원 마련이 필요한 사안은 국회와 재정 당국과 긴밀히 협의해 반영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신보라 여성인권진흥원 원장은 "피해자 보호를 최일선에 두고 국민께 신뢰받을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여가부는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중앙·지역 디성센터의 인력 확충, 종사자 전문성 강화, 삭제 시스템 운영 등에 필요한 예산을 증액 편성했습니다.

이를 통해 인공지능(AI) 기반 딥페이크 성범죄물 탐지·추적 시스템 고도화, 아동·청소년 온라인 성착취 선제 대응 체계 구축 등을 통해 피해자 중심의 신속한 원스톱 지원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사진=여성가족부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유튜브 구독 500만 이벤트!
댓글 아이콘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