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한은 "서울 고가 아파트, 6·27 대책 이후에도 신고가 거래 지속"

한은 "서울 고가 아파트, 6·27 대책 이후에도 신고가 거래 지속"
▲ 서울 강남·서초·송파구 일대 아파트 모습

6·27 가계 대출 규제 이후로도 서울 지역 고가 아파트의 추가 가격 상승 기대와 잠재 구입 수요가 높은 상황이라고 한국은행이 오늘(11일) 분석했습니다.

한은은 이날 발표한 통화신용정책 보고서에서 "15억 원 초과 아파트에서는 7월 이후에도 상승 거래와 신고가 거래가 이어지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한은은 6·27 대책 효과가 없지 않은 것으로 평가했습니다.

규제 발표 이후 수도권 주택시장은 가격 상승 폭이 축소되고 거래가 둔화하는 등 과열 양상이 다소 진정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구체적으로 6억 원 초과 주택담보대출 제한의 영향을 받는 규제 지역의 12억 원 초과 주택(담보인정비율 50%)의 거래 비중은 6월 33.9%에서 7월 23.2%로 10.7%p 줄었습니다.

같은 기간 규제 지역 외 8억 6천만 원 초과 주택(담보인정비율 70%)의 거래 비중도 51.3%에서 36.8%로 14.5%p 감소했습니다.

한은은 수도권 내 주택 구입 시 전입 신고 의무 강화로 갭투자(전세 낀 주택 구입) 등 투기적 거래도 상당 폭 줄어든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가계 대출 증가세도 둔화했습니다.

지난 7월 금융권 가계 대출 증가 규모는 6월의 3분의 1 수준으로 급감했고, 8월에는 5~6월 증가한 주택 거래가 시차를 두고 반영되면서 다시 커졌으나 그 폭이 제한적이었습니다.

시중은행 등 금융기관이 자율적으로 대출 관리 강화에 나서면서 생활안정자금 목적 주택담보대출, 신용대출을 중심으로 증가세가 잦아들었습니다.

그러나 한은은 지역 간 전이 효과, 과거 부동산 대책 학습 효과 등으로 6·27 대책 효과가 점차 약해질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과거에도 부동산 대책 발표 후 주택시장이 몇 개월 정도 둔화 흐름을 보이다 실효성 있는 추가 대책이 나오지 않으면 재차 반등하는 양상이 나타났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습니다.

실제 지난달 넷째 주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률은 연율 환산 4.5%로, 최근 3년 평균(-0.3%)을 크게 웃돌았습니다.

강남구(5.0%), 서초구(6.9%), 송파구(11.0%), 용산구(4.9%), 성동구(10.6%) 등 주요 지역은 특히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한은은 "위험 요인이 잠재한 만큼 주택시장과 가계 부채 상황의 추세적 안정 여부는 더 점검할 필요가 있다"며 "수도권 주택시장이 다시 과열되고 가계 부채 증가세도 확대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유튜브 구독 500만 이벤트!
댓글 아이콘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