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KT 가입자를 노린 무단 소액결제 사건의 수법으로 불법 초소형 기지국이 지목됐습니다. 신호가 약한 건물 안이나 주차장에 설치되는 장치인데요. 휴대전화와 통신사 기지국 사이에 오가는 정보를 중간에서 가로챘을 가능성이 제기된 겁니다.
먼저 김관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정부는 KT 가입자를 겨냥한 무단 소액결제 사고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불법 초소형 기지국을 통한 접속이 확인됐다고 밝혔습니다.
KT 시스템에 등록돼 있지 않은 새로운 기기가 발견된 겁니다.
[류제명/과학기술정보통신부 2차관 : 피해자의 통화 기록 분석을 통해 미등록 기지국 접속을 9월 8일 오후에 확인하였고….]
초소형 기지국은 신호가 약한 실내 등에서 통신 품질을 높일 때 쓰이는 장비입니다.
휴대전화 단말기와 통신사 기지국을 더 원활하게 연결해 주는 겁니다.
펨토셀이란 제품이 대표적인데, 단말기와 기지국 중간에서 정보를 가로챈 뒤, 소액 결제 등 범행에 활용됐을 가능성이 큰 겁니다.
펨토셀의 전파 범위는 수십m 정도이지만, 증폭기 등을 결합시키면 수백m 이상으로 넓어질 수도 있습니다.
[문종현/지니언스(사이버 보안업체) 이사 : (초소형 기지국을 통해서) 고객의 정보가 다 넘어가 가지고 악용될 수 있는 거냐, 소액결제가 될 수 있는 거냐는 또 다른 문제이기 때문에 기술적 검토도 필요할 것 같고….]
불법 초소형 기지국 접속이 확인된 이상, 이걸 누가 설치했고, 또 어떻게 KT 통신망에 접속했는지 밝히는 게 관건이 될 걸로 보입니다.
초소형 기지국은 무단 설치 자체가 불법인데, 중고 시장에서도 거래될 만큼 구하기는 어렵지 않습니다.
정부는 KT가 발견한 불법 초소형 기지국 흔적 외엔 추가로 발견된 건 없다고 밝혔습니다.
또, 통신 3사 모두 신규 초소형 기지국의 통신망 접속을 차단하도록 조치했습니다.
[류제명/과학기술정보통신부 2차관 : 불법 초소형 기지국에서의 이상 트래픽 정보를 금일 중 타 통신사에도 공유하여 타 통신사가 점검할 수 있도록 조치하였습니다.]
KT가 접수한 소액결제 피해는 177건, 7천782만 원인데, KT 자체 파악 결과 278건, 1억 7천여만 원에 달하는 걸로 집계됐습니다.
아직 피해를 인지하지 못한 KT 가입자가 있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정부는 KT가 피해 금액 전액을 청구하지 않기로 했다며, 위약금 면제 여부는 조사 뒤에 판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 양현철, 영상편집 : 조무환, 디자인 : 김한길·장예은)
댓글 아이콘댓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