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자막뉴스] 돌 반지 100만원 가나…금이 금값 '사상 최고치'

[자막뉴스] 돌 반지 100만원 가나…금이 금값 사상 최고치
금값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연일 고공행진을 벌이고 있습니다.

현지시간으로 8일 런던금시장협회에서 금 현물 가격은 장중 한때 온스당 3646.29달러에 거래되며 사상 최고가를 기록했습니다.

시카고상품거래소에서 거래된 금 선물 12월물도 전날보다 0.7% 오른 3677.4달러에 마감됐습니다.

국내 금값도 빠르게 오르고 있습니다.

KRX금시장에서는 어제 오후 2시 48분 기준 금 1kg 현물 가격이 전일 대비 2.71% 오른 165만 9천백원을 기록했습니다.

지난달 말 152만 8600원에서 열흘 만에 10% 가까이 오른 겁니다.

이에 따라 한국금거래소 기준 9일 순금 한 돈 살 때 가격은 70만 7천 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1년 전인 지난해 9월 11일 순금 한 돈 살 때 가격이 46만 3천원이었으니, 1년 새 상승폭이 53%에 달하는 셈입니다.

금값이 이렇게 치솟는 이유는 우선 미 연준의 금리 인하 기조 때문인 거로 분석됩니다.

최근 미 고용지표 부진에 연준이 다음 주 최소 0.25%포인트 금리를 인하할 거란 예상이 나오는 가운데, 이렇게 저금리 기조를 이어갈 경우 달러 가치가 하락하기 때문에 대체투자 수단으로 달러 대신 금 수요가 늘 수밖에 없다는 겁니다.

여기에 트럼프 전 대통령의 연준 압박도 변수로 작용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대표적 매파로 꼽히는 리사 쿡 연준 이사의 해임을 시도하면서 미 중앙은행 독립성 논란이 확산 됐고, 이는 투자자들 사이에서 달러 자산의 대안으로 금을 선택하는 흐름을 더 강화시켰다는 분석입니다.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신흥국들 중심으로 탈 달러화 움직임이 본격화되면서 각국 중앙은행이 금 보유 비중을 늘린 거도 이런 추세를 부추겼습니다.

이 때문에 금값 상승세는 당분간 이어질 거란 전망입니다.

골드만삭스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내년 상반기 중 금 가격이 온스당 4천 달러에 도달할 가능성이 높고, 5천 달러도 가능하다고 내다봤습니다.

이 경우 한 돈 기준으로 환산하면 100만 원에 육박하는 수준으로, 결국 돌반지 한돈에 100만원이 되는 셈입니다.

(구성 : 이호건 / 영상편집 : 김수영 / 디자인 : 임도희 / 제작 : 디지털뉴스편집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유튜브 구독 500만 이벤트!
댓글 아이콘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