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8월 취업자 16만 6천 명 증가…30대 쉬었음 33만 명 '역대 최대'

8월 취업자 16만 6천 명 증가…30대 쉬었음 33만 명 '역대 최대'
▲ 7월 16일 경북 구미시 복합스포츠센터에서 열린 '춘하추동 취업 한마당'에서 구직자들이 회사별 채용 정보를 살펴보고 있다.

취업자수가 3개월째 10만 명대 증가폭을 이어갔습니다.

60세 이상 고령층 일자리가 40만 명대 늘었지만, 15~29세 청년층 취업자는 20만 명대 감소했습니다.

제조업과 건설업의 고용부진도 이어졌습니다.

통계청이 오늘(10일) 발표한 '8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는 2천896만 7천 명으로 1년 전보다 16만 6천 명 늘었습니다.

3개월 연속 10만 명대 증가폭이면서 6월 18만 3천 명, 7월 17만 1천 명보다 소폭 둔화한 수치입니다.

지난 5월(24만 5천 명) 20만 명 선을 웃돈 것을 제외하면 올해 들어 매달 10만 명대에서 맴돌고 있는 것이기도 합니다.

산업별로 보면, 제조업과 건설업 '고용 한파'가 이어졌습니다.

제조업 취업자는 6만 1천 명 줄면서 14개월째 감소했습니다.

건설업 취업자 또한 13만 2천 명 줄면서 16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습니다.

국내 건설업황 부진이 쉽게 해소되지 않고 있는 데다, 대외적으로 미국발 관세 악재가 지속하는 흐름을 고려하면 제조업과 건설업 고용이 나아질 조짐은 보이지 않는 상황입니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 취업자가 40만 1천 명 늘었지만, 15~29세 청년층에서는 21만 9천 명 줄었습니다.

40대(7만 3천 명)와 50대(3만 8천 명) 고용도 감소했습니다.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상용근로자가 34만 8천 명 증가했고, 일용근로자는 6만 7천 명 감소했습니다.

자영업자와 무급가족종사자 등 비임금근로자도 10만 3천 명 감소했습니다.

전체 고용률은 양호한 흐름을 이어갔지만, 청년층 고용률은 큰 폭 내려앉았습니다.

고용률(15세 이상)은 63.3%로, 작년 동월보다 0.1% 포인트(p) 상승했습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도 69.9%로 0.1% p 높아졌습니다.

반면 15∼29세의 청년층 고용률은 1.6% p 하락하면서 45.1%로 떨어졌습니다.

16개월 연속 하락세입니다.

통계청 공미숙 사회통계국장은 브리핑에서 "최근 경력직 선호가 강화되고 수시 채용으로 가면서 청년층에 불리하게 작용하고 있다"고 해석했습니다.

실업자는 59만 2천 명으로 작년보다 2만 8천 명 줄었습니다.

실업률은 2.0%였습니다.

취업자와 실업자를 포괄하는 경제활동 인구는 2천955만 9천 명으로, 1년 전보다 19만 4천 명 증가했습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천622만 명으로 작년보다 9천 명 늘었습니다.

이 가운데 일도 구직활동도 하지 않은 '쉬었음' 인구는 264만 1천 명으로 7만 3천 명 증가했습니다.

특히 30대 쉬었음은 32만 8천 명으로 1년 전보다 1만 9천 명 늘었습니다.

2003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로 8월 기준 규모로 역대 최고치입니다.

20대 쉬었음 인구는 43만 5천 명으로, 3천 명 줄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유튜브 구독 500만 이벤트!
댓글 아이콘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