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네팔 정부가 SNS 접속을 차단한 데 대해 반발하는 시위가 격화하면서 22명 이상이 숨진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네팔 정부는 SNS 차단 조치를 철회하고 총리도 사임했지만 시위가 수그러들지 않아서 군 당국까지 진화에 나섰습니다.
정성진 기자입니다.
<기자>
철문을 뚫고 진입한 시위대가 돌과 의자 등을 마구잡이로 던지며 건물 창문을 깨부숩니다.
불까지 지르고 건물이 잿더미가 되자 시위대는 일제히 환호합니다.
현지시간 9일 네팔 수도 카트만두의 총리 관저까지 시위대가 들이닥친 모습입니다.
앞서 네팔 정부는 지난 5일부터 유튜브와 페이스북 등 26개의 미등록 소셜미디어의 접속을 차단하는 조치를 시행했습니다.
이에 항의하는 시위가 이어지면서 지난 8일 의회 청사 주변에 모인 수만 명의 시위대와 경찰이 충돌하면서 최소 19명이 숨졌습니다.
네팔 정부는 유혈 충돌 사태까지 발생하자 SNS 차단 조치를 철회했지만, 시위는 더욱 격화해 네팔 총리와 대통령 관저에 불을 지르고 국회의사당과 정부 청사까지 시위대가 들이닥친 겁니다.
[사마르타 둥가나/반정부 시위자 : 이 무능하고 부패한 정부가 즉각 사임하고 새 정부를 구성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면, 시위는 점차 종식될 것입니다.]
유혈 충돌 시위 하루 만에 내무부 장관 사임에 이어 결국, 올리 네팔 총리까지 물러나며 시위 진화에 나섰지만 역부족인 상황입니다.
시위가 폭동 수준으로 번지며 정치인 자택 등에 잇따라 불을 지르면서 전직 총리의 아내가 자택에서 숨진 것으로 전해지는 등 현재까지 시위로 모두 22명이 숨지고 500여 명이 다쳤습니다.
람 찬드라 포우델 네팔 대통령도 헬기를 타고 군사 훈련 센터로 대피한 상황입니다.
네팔 육군 참모총장은 성명을 통해 평화적 해결을 위해 시위대에게 시위를 즉시 중단하고 대화에 동참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는데, 네팔군이 시위 진화에 나설지는 밝히지 않았습니다.
(영상편집 : 최혜란)
댓글 아이콘댓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