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재정적자 프랑스 세대 갈등 분출…밀레니얼, 베이비부머에 책임론

재정적자 프랑스 세대 갈등 분출…밀레니얼, 베이비부머에 책임론
▲ 니콜라가 각종 비용을 부담하고 있다는 내용을 담은 밈

재정위기로 내각 붕괴 가능성마저 거론되고 있는 프랑스에서 세대 간 갈등이 분출하고 있습니다.

국가부채 증가에 따른 경제 악화로 타격을 받은 밀레니얼 세대(1980∼1996년 출생)가 1945년에서 1964년 사이 태어난 베이비붐 세대의 책임론을 들고 나오고 있습니다.

로이터 통신은 현지시간 4일 최근 프랑스에서는 '돈 내는 니콜라'라는 SNS 계정이 급부상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팔로워가 7만 4천여 명에 달하는 이 계정의 운영자는 스스로를 자유의지론자이자 최소한의 정부를 추구하는 중산층 출신이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이 계정에는 종종 작업복을 입은 지친 30대 '니콜라'가 등받이가 젖혀지는 긴 의자에 앉아 칵테일을 마시고 있는 70대 '베르나르와 샹탈'을 위해 돈을 대고 있는 모습을 풍자한 '밈'들이 올라온다고 로이터는 전했습니다.

니콜라는 1980년대생 프랑스 남성에서 흔한 이름이며, 베르나르와 샹탈은 프랑스의 전후·베이비붐 세대에서 많이 쓰인 이름입니다.

베이비붐 세대가 프랑스에 감당할 수 없는 부채를 떠 안겼고, 밀레니얼 세대가 복지 부담을 떠안고 있다는 젊은 층 일각의 불만을 대변하고 있는 것입니다.

밀레니얼 세대들은 SNS에서 '돈내는 니콜라'라는 해시태그를 달아 공감을 표출하며 베이비붐 세대의 비용 분담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계정 운영자는 로이터와 서면 인터뷰에서 정치인들이 표를 기대할 수 있는 연금 수급자들에게만 편향된 정책을 펴고 있어 자신이 속한 젊은 세대를 지키기 위해 나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연금 재원 문제를 사실에 근거해 차분하게 제기해도 젊은 층에 대한 증오의 물결만 인다"며 베이비붐 세대가 지금의 경제 및 안보 문제에 대해 구체적인 해결책을 제시해야 할 책임이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경제학자들도 밀레니얼 세대의 주장에 어느 정도 일리가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연금제도의 경우 근로자들이 급여 의무 공제를 통해 은퇴자들을 지원하는 형태를 띠고 있는데, 평균 수명이 길어지면서 밀레니얼 세대의 경우 이런 형태로 부양 부담을 져야 할 베이비붐 세대가 크게 늘었다는 것입니다.

반면 일부 노년층은 재정위기에 따른 어려움을 자신들에게 돌리는 것은 부당하다는 입장입니다.

한 베이비붐 세대는 "우리에게는 베이비붐 세대 문제가 아니라 예산 문제가 있는 것"이라며 "우리는 니콜라의 학비를 댔다"고 주장했습니다.

보수 성향의 브뤼노 르타이오 내무장관은 니콜라 같은 근로자들에게만 긴축 재정에 기여하도록 요구한다면 "반란이 일어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긴축재정 동력 확보를 위해 신임투표 카드를 들고 나온 프랑수아 바이루 총리도 최근 베이비붐 세대에 대해 "모든 게 괜찮다고 생각한다"고 비판적 시각을 표출한 바 있습니다.

바이루 총리는 재정적자를 줄이기 위해 내년도 예산에서 연금을 물가상승률에 연동하지 않는 방안을 제안하기도 했습니다.

인구통계학 전문가 막심 스바이는 "어느 나라도 오늘날의 프랑스만큼 연금 수급자를 잘 대우한 적이 없다"며 "베이비붐 세대는 황금기를 살았지만, 자신들의 인구학적 비중이 미치는 영향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사진='NicolasQuiPaie' 엑스 계정 캡처,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유튜브 구독 500만 이벤트!
댓글 아이콘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