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아껴도 줄지 않는 생활용수 공급량…강릉 시민 "날씨만 새로 고침"

아껴도 줄지 않는 생활용수 공급량…강릉 시민 "날씨만 새로 고침"
▲ 맨바닥 드러낸 강릉시 상수원

"화장실 청소를 물티슈로 하고 옷 색깔 분리 안 하고 모아서 빨래하고, 머리 감은 물 변기 물로 쓰고."

최악 가뭄으로 인한 물 부족으로 강릉시민들이 온갖 방법을 동원해 대대적인 물 절약에 나서고 있지만 생활용수 공급량은 눈에 띄게 줄지 않고 있습니다.

수도 계량기 잠금 방식의 제한급수 방식을 변경해야 하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시민들이 너도나도 수돗물을 아끼고 수도 계량기 75%를 잠금 하는 강력한 제한급수 시행, 대규모 숙박시설 축소 운영 등 물 절약에도 시민 18만 명에게 공급되는 생활용수는 크게 줄지 않습니다.

강릉지역 87%의 생활용수를 공급하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15% 미만으로 떨어져 계량기 75% 잠금이 시작된 지난달 31일 시민에게 공급된 생활용수량은 8만 5천750㎥입니다.

막바지 피서로 제한급수가 시행되기 이전인 지난달 18일의 9만 5천417㎥와 1만㎥ 정도의 차이에 불과합니다.

지난 1일 공급된 생활용수도 8만 5천497㎥에 이르는 등 8월 하순부터 8만 5천㎥ 안팎을 오르내리고 있습니다.

앞서 저수율이 20% 이하로 떨어져 계량기 50% 잠금이 시작된 지난달 20일 생활용수 공급량은 9만 4천118㎥이었습니다.

강릉시는 지난달 19일 실시한 가뭄대응 비상대책 기자회견 자료에서 저수율 20% 이하에서는 수도 계량기 50% 제한급수 등의 효과로 하루 생활용수 공급량을 약 5만 7천㎥, 강력한 제한급수가 시행되는 15% 미만에서는 약 3만 8천㎥로 추산했었습니다.

계량기 50% 잠금으로 절수 효과 40%, 75% 잠금의 강력한 제한급수로 60% 절수 효과를 각각 기대했었습니다.

그러나 그동안 해수욕장이 폐장해 피서객과 관광객이 감소하고 대규모 숙박시설 축소 운영, 체육시설 및 공중화장실 폐쇄, 시민들의 대대적인 절수 운동 등의 조처에도 물 사용량이 사실상 눈에 띄게 줄지 않고 있습니다.

실제로 시는 수도 계량기 50% 제한급수로 40% 절수효과를 기대했지만, 실제 15%만 줄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달 30일 오봉저수지를 방문한 이재명 대통령도 강릉시의 수도 계량기 잠금 방식의 제한급수에 대해 "획기적으로 (물 사용량이) 줄지 않을 것"이라며 "시간제 제한급수를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저수율은 오늘(2일) 현재 14.2%까지 떨어졌습니다.

김홍규 강릉시장은 지난 1일 기자회견에서 "저수율이 10% 미만으로 떨어질 경우 시간제나 격일제 급수 공급을 검토하겠다"는 방침을 밝혔습니다.

이처럼 저수율이 연일 역대 최저치를 갈아치우고 있는 가운데 시민들은 "하루 종일 날씨를 새로 고침 하면서 비 소식만 애타게 기다리고 있다", "세계에서 유명하다는 날씨 앱 몇 개를 깔아놓고 습관적으로 들여다본다", "하루 종일 날씨를 보고 뉴스를 보고 한숨만 나온다"며 비 소식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유튜브 구독 500만 이벤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