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김 여사는 재판에 넘겨졌지만 아직 특검이 살펴보고 있는 의혹은 더 남았습니다. 특검팀이 이배용 국가교육위원장 자택을 압수수색한 배경에 금거북이가 있다는 사실, 저희가 어제(28일) 단독 보도해드렸는데요. 특검팀은 2022년 대선 직후부터 김 여사 측이 '매관매직' 행위를 해온 것이 아닌지 의심하면서 윤석열 전 대통령의 연루 가능성도 살피고 있습니다.
이어서 원종진 기자입니다.
<기자>
김건희 특검팀은 지난달 말 김 여사 모친 사무실을 압수수색하는 과정에서 이배용 국가교육위원장이 작성한 것으로 보이는 대통령 당선 축하 메모와 함께 금거북이를 발견했습니다.
특검팀은 서희건설 측이 2022년 대선 직후 김 여사에게 건넨 이른바 '나토 3종' 귀금속처럼 금거북이도 비슷한 시점에 건네졌고, 이후 공직 임명 청탁의 대가가 아닌지 의심하고 있습니다.
'나토 3종' 세트가 건너간 뒤 서희건설 맏사위인 박성근 전 검사가 국무총리 비서실장에 임명된 것처럼 이 위원장도 금거북이 선물 대가로 2022년 9월 장관급인 국가교육위원장에 임명된 것 아니냐는 겁니다.
이 위원장은 서희건설 이봉관 회장이 이끌고 있는 국가조찬기도회 부회장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매관매직' 의혹과 관련해 특검팀은 김 여사에게 뇌물 혐의를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특검팀은 실제 서희건설 압수수색영장에 뇌물 공여 혐의를 적시했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뇌물죄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공무원'이 직무와 관련해 금품을 받아야 하는데, 김 여사는 공무원이 아니라서 뇌물죄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윤석열 전 대통령과의 공범 관계가 입증돼야 합니다.
김 여사의 금품 수수 당시 윤 전 대통령이 이를 인식했는지도 관건입니다.
특검팀은 매관매직 과정에 윤 전 대통령 관여가 있었을 것으로 보고 윤 전 대통령이 목걸이나 금거북이 등 수수 사실을 사전에 인식했는지 여부를 수사할 전망입니다.
이 위원장은 압수수색이 있던 어제 돌연 연가를 내고 오늘 국무회의에 불참했고, SBS가 입장을 듣기 위해 여러 차례 접촉을 시도했으나 연락이 닿지 않았습니다.
김 여사 측은 금거북이와 관련한 기억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영상편집 : 최혜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