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오른쪽)과 이형훈 2차관이 27일 국회 보건복지부 전체 회의에 출석해 자료를 보며 대화하고 있다.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난 의료대란이 환자 등에게 끼친 영향에 대해 "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 출석한 정 장관은 "환자·시민단체들은 반드시 지난 의료대란에 대한 피해 조사와 대책 마련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장관님 견해는 어떤가"라는 김윤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문에 이같이 답했습니다.
그러면서도 정 장관은 "환자단체에서의 조사 요구와 의원님이 말씀하신 조사는 조금 달라서 피해 조사의 목적과 방법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고, 개인에 대한 개별적인 피해 조사와는 다른 측면이 있어 그런 부분을 잘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정부가 의료대란의 구체적인 피해 규모를 체계적으로 조사해 알릴 필요가 있고, 혹시라도 반복될 시 정부가 어떤 대응을 해야 하는지 알기 위해서도 조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데 동의하시냐"고 묻는 말에는 "조사의 목적과 방법에 대해 검토하겠다"고 답했습니다.
의대 증원과 전공의 사직으로 촉발된 의정 갈등이 1년을 넘기며 장기화하자 환자·시민단체들은 의료 공백에 따른 피해 조사와 재발 방지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해 왔습니다.
한국암환자권익협의회 등 8개 단체가 소속된 한국중증질환연합회는 "환자 피해 조사 기구를 발족하고 명확한 조사를 시행하는 한편 '제2의 전공의 사직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중환자실·응급실 공백을 막기 위한 법적 장치를 마련하라"고 촉구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