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8뉴스

'3,500억 달러 로드맵'에 추가 투자…정상회담서 압박 나설까

3,500억 달러 로드맵에 추가 투자…정상회담서 압박 나설까
<앵커>

지난달 타결된 '관세협상'에서 우리 정부는 3천500억 달러의 대미 투자를 약속한 바 있습니다. 미국 측은 구체적으로 어디에 어떻게 투자할지, 즉 '로드맵'을 내놓으라고 우리 측에 요구하고 있는 걸로 보입니다. 3천500억 달러 외에 추가 투자까지 압박하는 걸로 전해집니다.

계속해서 김아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우리 정부가 약속했던 대미 투자 패키지는 조선 협력을 앞세워 우리가 짠 '마스가' 1천500억 달러와 반도체, 2차 전지 등 분야에서의 2천억 달러로 구성돼 있습니다.

이번 정상회담에서 관건은 지난달 31일 관세합의 땐 사실상 총액으로만 제시된 '2천억 달러 대미 투자'의 구체적 성격과 로드맵입니다.

정부는 보증과 대출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직접투자 비중은 적다고만 밝혀 왔습니다.

[김용범/대통령실 정책실장 (지난달 31일) : 직접 투자는 매우 낮을 것이다. 그냥 한도 개념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2,000억 달러는 한도다.]

반면,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협상 타결 직후 SNS를 통해 한국의 투자금은 미국이 소유와 통제를 하고, 자신이 직접 투자처도 정한다고 공언했습니다.

결국, 이번 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그 공언의 결과물을 확보하려고 압박에 나설 전망입니다.

우선, 언제 투자가 이뤄질지가 쟁점입니다.

우리 정부는 조기 집행이 가능한 수준의 액수가 아니란 입장이지만, 미국 측은 '트럼프 대통령 임기 내 이행'을 요구하는 걸로 전해집니다.

[김정관/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지난 5일, MBC '김종배의 시선집중') : 미국은 가급적이면 트럼프 행정부 내에, 임기 내에 이런 게 있는데 그 돈이 그럴 수 있는 규모가 아니잖아요. 굉장히 유동적으로 저희는 생각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이른바 플러스 알파 즉 '3천500억 달러 외 추가 투자를 우리 측에 요구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번 방미에 동행한 4대 기업 등이 추가 대미 투자 계획을 준비했고, 이를 정상회담 뒤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에서 'FDI', 즉 외국인 직접투자 형태로 발표할 수 있단 관측도 나옵니다.

다만, 이 투자가 관세협상에서 이미 약속된 2천억 달러에 포함되는지, 아니면 별도의 금액인지는 불명확합니다.

아울러 관세협상 당시 합의됐던 LNG 등 미국산 에너지의 1천억 달러 구매에 더해 항공기 등을 추가로 구매하는 방안도 협의가 진행돼 온 걸로 알려졌습니다.

(영상편집 : 이소영)
NAVER에서 SBS NEWS를 구독해주세요
댓글 아이콘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