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6월 20일 전국에 말라리아 주의보를 발령한 이후 이달 13일 기준 인천 강화군, 경기 파주시·연천군·고양시·양주시·김포시, 강원 양구군·화천군 등 총 8개 지역에 경보가 발령됐고, 이번에 '말라리아 원충 검출'이라는 조건이 충족됨에 따라 경보가 전국으로 확장 발령됐습니다.

질병청은 국방부,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매년 4∼10월 서울·인천·경기 북부·강원도 등 위험지역을 중심으로 말라리아 매개 모기를 조사해 모기 개체수 변화와 감염률을 감시하고 있습니다.
합동 감시 결과, 올해 매개 모기 일평균 개체수는 전년보다 54.4% 줄었으나 29주차에 많은 비가 내린 영향으로 31주차(7월 27일∼8월 2일)에는 평년 같은 기간보다 46.9%, 작년 같은 기간보다 24.1% 매개 모기가 늘었습니다.
삼일열 원충 감염은 매개 모기가 늘어난 올해 31주차에 양구군에서 확인됐습니다.

올해 들어 이달 13일까지 국내 말라리아 환자는 총 373명으로, 1년 전(443명)보다는 18.8% 적습니다.
이달 13일 기준 말라리아 군집사례도 작년(22건)보다 적은 16건만 발생했습니다.
군집사례는 위험지역에서 발생한 말라리아 환자 간의 증상 발생 간격이 14일 이내이고, 1㎞ 이내에서 2명 이상의 환자가 발생한 경우를 뜻합니다.
말라리아 감염을 막으려면 모기가 활발하게 활동하는 4∼10월 야간에 야외 활동을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야간에 외출할 때는 밝은 긴소매 상의와 긴 바지를 입고 얼굴 주변을 피해 모기 기피제를 뿌려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모기에 물린 뒤 오한, 고열, 발한이 48시간 주기로 반복되고, 두통이나 구토, 설사 등을 동반할 경우 가까운 의료기관을 찾아가 진료받아야 합니다.
(사진=질병관리청 제공,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