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기초의원 노린 딥페이크 협박 '수사 중지' 통보

기초의원 노린 딥페이크 협박 '수사 중지' 통보
전국 지방의회 의원들을 상대로 벌어진 딥페이크 협박 사건 수사가 범인을 특정하지 못한 채 결국 중단됐습니다.

오늘(17일) 서울경찰청에 따르면, 최근 서울경찰청 사이버범죄수사대는 딥페이크 피해를 당한 서울, 인천 등의 기초의원들에게 수사중지 결과를 통보했습니다.

경찰은 그동안 범행에 사용된 메일 계정, 접속 IP, 휴대전화 번호, 전자지갑 주소 등 단서를 토대로 다각도 수사를 진행해왔습니다.

메일이 해외에서 발송된 만큼 인터폴(국제형사경찰기구) 공조도 요청했으나 회신이 이뤄지지 않으면서 피의자 추적은 난관에 봉착했습니다.

경찰은 '수사 종결'이 아닌 중지이기 때문에 인터폴 공조에 진척이 있거나 추가 단서가 확보될 경우 수사를 재개하겠다는 방침입니다.

딥페이크 협박 메일은 지난해 11월부터 시작됐습니다.

피해자는 주로 20∼40대 남성으로, 얼굴을 합성한 나체의 남성이 여성과 누워있는 사진이 담긴 경우가 많았습니다.

발신자는 협박 메시지와 함께 불법 합성물을 삭제해 주는 대가로 거액의 암호화폐를 요구하며 QR코드를 보내 접속하도록 유도했습니다.

서울, 인천, 부산, 광주, 대구 등의 기초의회 소속 최소 40여 명이 메일을 받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최근에는 지난 4월 순천시의회 의원 3명이 메일을 받았습니다.

피해를 알리지 않은 의원도 있어 실제 피해자는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난해 1월 시행된 개정 공직선거법에 따라 딥페이크로 누군가를 낙선시키기 위해 허위사실을 공표할 경우 7년 이하의 징역에 처할 수 있습니다.

이는 일반 허위사실 공표죄보다 더 무거운 처벌입니다.

하지만 협박범을 잡지 못하면 법 제정의 취지는 반감될 수밖에 없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귀에 빡!종원
댓글 아이콘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