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일본 총리 패전 추도사서 13년 만에 '반성' 언급…'침략·가해'는 빠져

일본 총리 패전 추도사서 13년 만에 '반성' 언급…'침략·가해'는 빠져
▲ 15일 패전일 전몰자 추도식에서 발언하는 이시바 일본 총리

일본 총리가 패전일 전몰자 추도사에서 13년 만에 '반성'을 언급했습니다.

다만 일본 총리들이 2012년까지 '반성'을 언급하면서 함께 쓴 '침략'이나 '가해'라는 표현은 빠져 식민지로 지배한 이웃 나라에 대한 반성의 의미로 평가하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이시바 시게루 총리는 패전 80년을 맞아 오늘(15일) 도쿄 일본 무도관에서 열린 '전국 전몰자 추도식' 식사에서 "전쟁의 참화를 결단코 되풀이하지 않겠다"며 "그 전쟁의 반성과 교훈을 이제 다시 가슴 깊이 새겨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지난 80년간 일본은 일관되게 평화 국가로 걸어오며 세계 평화와 번영에 힘써왔다"고 강조했습니다.

일본 총리가 패전일 전몰자 추도사에서 '반성'이라는 단어를 언급한 것은 13년 만입니다.

다만 일본이 일으킨 침략 전쟁으로 식민 지배를 당한 이웃 나라를 반성 대상으로 직접 언급한 것은 아닙니다.

이시바 총리는 평소 일본이 문민 통제를 받지 않은 채 전쟁을 일으킨 데 대해 비판적인 의견을 보여왔습니다.

과거 일본 총리들은 패전일에 이웃 나라가 겪은 피해를 언급하고 반성의 뜻을 표명했으나 2012년 12월 아베 신조 총리 재집권 이후 이런 관행이 끊겼습니다.

호소카와 모리히로 전 총리는 일본이 일으킨 침략 전쟁으로 타국이 입은 피해를 1993년 패전일에 처음 언급했습니다.

호소카와 총리는 당시 "아시아의 가까운 여러 나라를 비롯한 전 세계의 모든 전쟁 희생자와 그 유족에 대해 국경을 넘어 삼가 애도의 뜻을 표한다"고 전몰자 추도식에서 말했습니다 .

1994년 무라야마 도미이치 당시 총리는 "아시아를 비롯한 세계의 많은 사람에게 필설로 다 표현할 수 없는 비참한 희생을 초래했다"며 "깊은 반성과 함께 삼가 애도의 뜻을 표하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아베 전 총리가 재집권하고서 맞은 첫 패전일인 2013년 8월 15일에는 일본이 타국에 피해를 준 사실과 반성의 뜻을 표명하지 않은 것을 시작으로 이후 가해와 반성의 표현은 사라졌고 스가 요시히데, 기시다 후미오 전 총리도 이를 사실상 계승했습니다.

이에 따라 일왕만 전몰자 추도식에서 '반성'을 언급해왔습니다.

나루히토 일왕은 오늘 추도식에서도 "과거를 돌아보고, 깊은 반성 위에 서서 다시 전쟁의 참화를 되풀이하지 않기를 절실히 바라며"라고 작년과 같은 문구를 사용해 '반성'을 언급했습니다.

한편, 이시바 총리는 오늘 각의를 거친 총리 담화를 발표하지 않았습니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은 정례 기자회견에서 "이시바 내각은 총리 담화를 비롯해 역사 인식에 대한 역대 내각의 입장을 전체적으로 계승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계승해나갈 것"이라고만 밝혔습니다.

이시바 총리는 원래 패전 80년을 맞아 총리 담화 발표를 검토했으나 옛 아베파 등 집권 자민당 내 보수 세력 반발을 고려해 이를 보류했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딥빽X온더스팟
댓글 아이콘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