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휴가를 마치고 복귀한 이재명 대통령이 "앞으로 발생하는 모든 산업재해 사망사고를 직접 보고하라"고 지시했습니다. 최근 잇단 사망 사고에 대통령이 직접 상황을 챙기겠다는 의지로 보이는데, 산재 사고에 대한 정부의 대응도 한층 강해질 전망입니다.
보도에 강민우 기자입니다.
<기자>
여름휴가를 마치고 복귀한 이재명 대통령의 첫 지시는, 산업재해 사망사고 대책에 방점이 찍혔습니다.
[강유정/대통령실 대변인 : 앞으로 모든 산재 사망사고는 최대한 빠른 속도로 대통령에게 직보하라고 지시하였습니다.]
국정상황실을 통해서 보고·전파되던 기존 체계는 유지하되 대통령 직보 체계도 따로 마련하겠단 겁니다.
그간 산재 사망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을 여러 차례 강조해 왔는데도 어제(8일) 오후 경기도 의정부의 DL건설 신축 아파트 건설 현장에서 50대 노동자가 떨어져 숨지는 등 사고가 끊이질 않자, 아예 이 대통령이 직접 챙기겠단 겁니다.
앞서 지난달 25일, 이 대통령은 새벽 작업 중이던 50대 노동자가 기계에 끼여 숨지는 사고가 난 SPC 제빵공장을 찾아가 경영진을 질타했고,
[이재명 대통령 (지난달 25일, 경기 시흥 SPC 제빵공장) : 일주일에 4일을 밤 7시부터 새벽 7시까지, 풀로 12시간씩 사람이 일을 한다는 게 가능한 일인지 저는 좀 의문이 되는데….]
올해만 4차례 산재 사망 사고가 발생한 포스코이앤씨의 소식이 전해진 지난달 29일에는, 예방 가능한 사고였다면 건설면허 취소를 비롯한 강경 대처가 필요하다며 작심 발언을 쏟아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 (지난달 29일, 국무회의) : 아주 심하게 얘기하면 법률적 용어로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 아닙니까?]
고용노동부 장관을 향해선 산재 사망 근절에 직을 걸라고도 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 (지난달 29일, 국무회의) : 상당 기간이 지나도 산재가 안 줄어들면 진짜 직을 거십시오.]
[김영훈/고용노동부 장관 : 그렇게 하겠습니다.]
이 대통령은 지금까지의 사망 사고에 대한 사전·사후 조치 내용을 다음 주 국무회의에서 보고하라고 지시했는데, 앞으로 산재 사망사고에 대한 정부 대응 수위가 높아질 거란 예상이 나오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이병주, 영상편집 : 오영택)
댓글 아이콘댓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