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뉴욕증시, 상호관세 발효 첫날 혼조 마감…다우 0.5%↓

뉴욕증시, 상호관세 발효 첫날 혼조 마감…다우 0.5%↓
▲ 뉴욕증권거래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세계 무역 파트너에 부과하는 상호관세가 발효한 가운데 뉴욕증시가 보합권에서 혼조 마감했습니다.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24.48포인트(-0.51%) 내린 43,968.64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5.06포인트(-0.08%) 내린 6,340.00에 마감했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장보다 73.27포인트(0.35%) 오른 21,242.70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상호관세가 미국 동부시간 7일 0시1분, 한국시간 7일 13시1분 본격 시행된 뒤 전세계 경제에 미칠 파장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뉴욕증시는 강세로 출발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반도체 품목 관세에 대한 면제 사항을 언급한 게 기술주를 중심으로 투자심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반도체에 약 10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며 "만약 미국에 (반도체 제조 공장을) 건설한다면 부과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날 개장 전 발표된 주간 실업청구 지표가 여전히 양호한 수준에 머무는 것도 미국의 고용 사정이 급속도로 나빠지는 것 아니냐는 앞선 우려를 덜게 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연방준비제도의 새 이사에 '트럼프 책사'로 꼽히는 스티븐 미란 백악관 국가경제자문위원장을 지명했습니다.

투자자들은 통화 긴축을 선호하는 매파 성향인 아드리아나 쿠글러 전 연준 이사가 이사직에서 물러나면서 9월 통화정책회의에서 연준이 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란 기대를 높여왔습니다.

애플은 향후 4년간 미국에 1천억 달러, 약 140조 원 규모의 추가 투자를 할 계획이라고 밝히면서 3.18% 상승했습니다.

한편 제약사 일라이 릴리는 비만 치료제의 후기 단계 임상시험 결과가 투자자들을 실망감을 안기면서 이날 14.14% 급락했습니다.

일라이 릴리의 급락은 다우 지수 하락의 주된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딥빽X온더스팟
댓글 아이콘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