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그룹의 기업가치 증가에는 한미 조선 협력 프로젝트인 '마스가'(MASGA)' 등이 일조한 것으로 분석돼 관세 협상이 국내 증권시장 지형에도 영향을 미치는 모습입니다.
오늘(5일) 증권업계와 한화그룹에 따르면 지난해 말(2024년 12월 30일 종가 기준) 43조5천억 원이었던 한화그룹 13개 상장사의 시가총액은 7개월 만인 이달 초 120조 7천억 원(2025년 8월 1일 종가 기준)으로 77조 2천억 원 증가했습니다.
같은 기간 코스피가 30.6%, 한화를 제외한 10대 그룹 평균이 30.3% 늘어난 것이 비하면 5배 이상 높은 수치입니다.
지난해 말 코스피 전체 시가총액(2천662조 7천억 원)의 2.3%에 불과했던 한화그룹 상장사들이 올해 코스피 상승분(600조 2천억 원)의 12.9%를 견인한 셈입니다.

한화그룹은 방산과 조선 분야 계열사의 주가 상승에 힘입어 기업가치가 크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오션, 한화시스템 등 방산·조선 3사의 시가총액은 지난달 31일 기준 97조 원에 달합니다.
먼저 글로벌 방산 시장 확대에 따라 지난 연말 32만 6천 원이던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가는 지난달 말 99만 6천 원으로 245.1% 폭등했습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올해 상반기 매출 11조 8천577억 원, 영업이익 1조 4천251억 원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경신했고, 지난 7월 21일 4조 2천억 원의 자본을 조달하며 유상증자도 마무리했습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유상증자 발표 날(3월20일) 72만 2천 원이던 주가는 지난달 말 장중 103만 5천 원을 찍으며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기도 했습니다.
한화오션은 조기 경영정상화 성공 및 한미 관세 협상 여파로 주가가 같은 기간 3만 7천350원에서 11만 2천300원으로 200.1% 급상승했습니다.
한화오션은 국내 조선업체가 한미 관세 협상에서 결정적 역할을 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진 지난주 주가가 크게 상승했습니다.
이와 관련, 마스가 등 관세 협상이 국내 증시 지형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한화오션은 미국 현지 조선소를 보유한 유일한 국내 조산업체로, 지난해 말 인수한 필리조선소를 통해 설비 투자, 일자리 창출, 기술 이전 등을 진행 중입니다.
한화오션의 미국 현지 사업은 한국과 미국과의 관세 협상 타결에 지렛대 역할을 했다는 평가입니다.
변웅진 iM증권 연구원은 "현재는 한국이 미국의 조선업 재건을 돕는 구조지만, 중장기적으로는 미국 내 상선 및 군함 발주를 한국 기업이 수주하는 방식으로 보답받을 것"이라며 "한화오션에 새로운 성장 기회가 열릴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사진=한화그룹 제공,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