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8뉴스

7월 대미 수출 '증가'…'FTA 효과' 사라진 앞으로가 걱정

7월 대미 수출 증가…FTA 효과 사라진 앞으로가 걱정
<앵커>

미국의 관세 영향에도, 지난달 우리나라 수출은 두 달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습니다. 특히 우리 핵심 수출 품목인 반도체가 전체 실적을 끌어올렸는데, 무관세 혜택을 누렸던 한미 FTA 효과가 사라진 앞으로가 걱정입니다.

엄민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달 우리나라 수출은 608억 2천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5.9% 증가했습니다.

미국으로의 수출도 103억 3천만 달러로 1.4% 소폭 증가했습니다.

하지만 6월 1위였던 대미 수출은 중국과 아세안에 이어 3위로 내려앉았습니다.

[서가람/산업부 무역정책관 : 여러 가지 불확실성, 그다음에 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와서 관세 부과의 영향 등이 있어서 지금 감소 추세에….]

철강을 비롯해 자동차와 부품 등에 부과된 관세 영향이 가시화된 결과입니다.

전체 수출을 견인한 반도체는 고대역폭 메모리, HBM 같은 고부가 제품의 수요가 늘면서 지난달 최대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품목 관세 부과 전 이른바 '밀어내기' 수출 물량이 상당 부분 반영된 것이라는 분석도 나옵니다.

[송명섭/iM증권 연구원 : 관세 부과되기 전에 가격 상승이 올 수 있다 해서 스마트폰, PC 반도체들 선 구매해 가지고 생산을 미리 해놨어요.]

문제는 15% 상호관세 적용으로 FTA 효과가 사라진 앞으로입니다.

자동차의 경우, 기존에는 일본보다 유리했던 관세 조건이 상대적으로 더 불리해졌습니다.

[조영무/NH금융연구소 소장 : 일본은 2.5%에서 15%로 12.5%포인트 높아졌다고 한다면 우리는 FTA 때문에 0%였다가 15% 된 거기 때문에 우리가 결과적으로는 데미지가 더 클 수밖에 없는….]

주력 수출 품목인 반도체도 미국이 조만간 품목 관세 부과를 예고한 가운데, 관세율이 10~15% 수준에 이를 거라는 전망도 나옵니다.

여기에 관세 인상으로 인한 미국 내 제품 가격 상승과 수요 위축, 미국 내 인플레이션 장기화 가능성까지 현실화하면 하반기 수출 여건은 한층 더 어려워질 것으로 보입니다.

(영상취재 : 최호준, 영상편집 : 박나영)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경제 3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