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우리의 조선업 협력 카드가 미국에게 매력적인 이유는 미국 조선업이 수십 년간 쇠락하면서 사실상 자체 건조 역량을 상실했기 때문입니다. 중국을 상대로 바닷길을 잡기 위해서는 전 세계 선박 건조의 28%를 차지하는 우리 도움이 필요할 수밖에 없습니다.
김관진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미국 필라델피아의 필리조선소. 과거 해군 함정 건조를 시작으로 한 때 미국 조선업의 영광으로까지 불렸던 곳이지만, 쇠락을 거듭하다 지난해 한화오션에 인수됐습니다.
이후 한화 해운이 발주한 3천500억 원짜리 LNG 운반선을 수주하며, 미국 조선소로는 50년 만의 LNG 운반선 수주 기록을 세웠습니다.
실제 건조는 대부분 국내 옥포조선소에서 이뤄지지만, 현지 직원 양성과 기술 전수 과정 등 건조 능력을 단계적으로 이양할 예정이어서 한미 조선협력의 대표 사례로 꼽힙니다.
HD 현대는 미국 조선해운사 에디슨 슈에스트 오프쇼어와 함께 컨테이너 선박을 공동 건조하기로 하고, 자동화 솔루션, 로봇 용접 등 현지 인프라 확충 방안 등을 논의 중입니다.
이런 협력사례는 조선 산업 재건을 시도하는 미국입장에서 매력적인 카드일 수밖에 없습니다.
[트럼프/미 대통령 (올해 3월, 의회 연설) : 상업용 조선과 군사용 조선을 포함한 미국 조선 산업도 부활시킬 것입니다.]
특히, 일본이 자국 건조 역량 부족으로 미국에 대한 직접 투자를 결정한 상황이어서 공동건조와 기술이전, 인력 양성 등 삼박자 협력이 모두 가능한 것은 한국이 유일합니다.
[김용환/서울대 조선해양공학과 교수 : 전후방 산업이 탄탄해야만 조선업이 융성을 하는데 미국은 그 부분이 붕괴가 돼 있어요. 그들의 니즈를 맞춰주면서 우리가 이익을 같이 찾아야만 오래 롱런이 가능하다….]
국내 조선업 경쟁력을 빼앗기지 않으면서 양측이 만족할 접점을 찾는 게 과제가 될 전망입니다.
(영상편집 : 우기정, 디자인 : 김한길)
댓글 아이콘댓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