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저선량 방사선 이용해 치매 치료'…한수원, 공동연구 결과 발표

'저선량 방사선 이용해 치매 치료'…한수원, 공동연구 결과 발표
▲ 한국수력원자력 경주 사옥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이 저선량 방사선 치매 치료에 활용할 가능성을 발견했습니다.

오늘(28일) 한수원에 따르면 산하 연구기관인 방사선보건원이 강동경희대병원, 충북대학교병원,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과 초기 알츠하이머병 환자 36명을 대상으로 저선량 방사선 치료를 한 결과 최대 12개월까지 부작용 없이 인지 기능 저하 증상이 완화한 것을 확인했습니다.

저선량 방사선은 자연 방사선 수준으로 낮은 선량의 방사선입니다.

보통 1회 방사선량이 100밀리그레이(m㏉) 이하입니다.

이번 연구에서는 암 치료 선형가속기를 사용해 기존의 암 치료 선량인 2그레이(㏉)보다 낮은 선량인 0.04∼0.05㏉를 매주 2번씩 환자들에게 쬐어 주며 3주간 방사선 치료를 했습니다.

이어 12개월간 대상자의 인지 기능, 영상·혈액 검사 결과를 추적 관찰했습니다.

대조군으로는 기존에 치매 약물을 복용하면서 저선량 방사선 치료를 받지 않은 사람들을 선택했습니다.

추적 관찰 결과, 대조군은 인지 기능이 계속 떨어진 반면 저선량 방사선 치료군은 최대 12개월간 부작용 없이 인지 기능 저하 증상이 개선됐습니다.

기존의 방사선 치료 연구나 알츠하이머 치료 임상 연구는 한국, 미국, 캐나다에서 대조군 없이 환자 5명가량을 대상으로 했거나, 방사선을 이용한 암 치료 연구에 그쳤습니다.

이번 연구는 방사선을 암 치료가 아닌 난치성 퇴행성 질환에 적용한 세계 최초의 연구이자, 알츠하이머와 관련한 세계 최대 규모의 임상 연구라는 의미가 있다고 한수원은 설명했습니다.

연구팀은 이번 결과를 국제 학술지에 발표하고 추가 연구를 통해 장기간 부작용 유무와 치료 효과 등을 더욱 다각적으로 검증할 예정입니다.

(사진=한국수력원자력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귀에 빡!종원
댓글 아이콘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