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이번 여름에는 이상하게 모기가 좀 줄었다, 하신 분들 있으시죠. 실제로 포집된 모기 수를 보니 지난해보다 모기가 줄어든 걸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남은 여름 다시 또 모기가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고 하는데, 왜 그런지 정구희 기자가 설명합니다.
<기자>
공원 배수로 근처는 모기 유충인 장구벌레의 단골 서식지입니다.
태어난 지 고작 하루 이틀 정도 된 어린 장구벌레들만 눈에 띕니다.
[김동건/기후변화매개체 감시거점 센터장 (교수) : 장마가 뒤늦게 오게 되면서 얘네들이 주로 활동하는 시기에 우수관로들에 빗물들이 집중적으로 유입되면서 유충들이 많이 쓸려 내려갔거든요.]
공원 안쪽으로 들어가니, 커다란 물웅덩이가 눈에 띕니다.
극심한 폭우가 쏟아지고 난 뒤에는 이렇게 도심 공원 곳곳에 물웅덩이가 형성됩니다.
이 웅덩이는 폭염 속에도 장시간 남아 있게 되는데 이 속에는 물고기 같은 천적도 없어서 모기가 대량 발생할 수 있는 서식지가 됩니다.
웅덩이 물을 떠보니 배수로와는 다르게, 다 자란 장구벌레들이 살고 있습니다.
깨 모양의 검은 점들은 번데기인데 이제 하루 뒤면 부화해서 모기가 될 걸로 보입니다.
모기 개체 수는 날씨와 어느 정도 관련이 있습니다.
서울에서 포집된 모기 수는 7월 초, 하루 3천 마리를 넘어 6일쯤 정점을 찍었다가 이후 다시 2천 마리로 크게 줄었습니다.
높은 기온과 강한 햇볕에 모기의 주 서식지인 웅덩이들이 메마른 게 원인으로 추정됩니다.
14일부터는 비가 내렸고 16일부터는 폭우가 쏟아지면서 모기 수는 계속 급감해 1천400마리대로 떨어졌습니다.
그럼 앞으로는 어떻게 될까?
[김동건/기후변화매개체 감시거점 센터장 (교수) : 단기간에는 모기 유충이 없고 성충 밀도가 떨어지는 것처럼 보이지만, 비가 그치고 나서는 열흘 뒤부터는 모기 밀도가 가파르게 상승할 수 있습니다.]
통상 장구벌레가 모기가 되기까지는 열흘 정도 걸립니다.
모기가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는 온도는 25도에서 30도 사이, 폭염이 주춤할 때부터 늦더위가 이어지는 가을까지 활발하게 활동할 걸로 예상됩니다.
말라리아를 옮길 수 있는 모기도 조금씩 많아지는 추세라, 경기 북부 5개 시군과 인천 강화도에는 말라리아 경보가 발효 중입니다.
(영상취재 : 조창현, 영상편집 : 오영택)
댓글 아이콘댓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