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산업장관, 미 상무장관과 80분 무역협상

산업장관, 미 상무장관과 80분 무역협상
▲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4일(현지시간)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과 악수하고 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부과 유예 시한을 1주일 앞두고 정부가 막바지 협상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미국을 방문 중인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현지시간 24일 워싱턴DC에서 미국측 카운터파트인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과 만났다고 정통한 소식통이 전했습니다.

한미 양국 산업장관의 만남은 미 동부시간으로 이날 오전 11시 30분부터 1시간 20분간 진행됐으며, 이 자리에는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도 함께 했습니다.

당초 오는 25일로 예정됐던 경제·통상 분야 '한미 2+2 장관급 회담'이 베선트 미 재무장관의 일정 문제로 무산되면서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미국 출장도 함께 연기된 터라 김 장관은 현재 미국에 머무르는 최고위급 정부 대표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7일 한국에 25%의 상호관세율을 설정하고 관세 부과 유예 시한을 다시 8월 1일까지로 연장한 만큼 이제 미국과의 협상 시한은 1주일을 남겨 두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간적 제약뿐 아니라 한국에 설정된 25%의 상호관세율을 최대한 낮추는 게 협상 목표여서 미국과 일본이 최근 무역 협상을 타결한 것도 부담이 큰 상황입니다.

일본은 주력 수출 품목인 자동차를 포함해 대미 수출품에 대한 관세를 애초 25%에서 15%로 대폭 낮췄습니다.

더구나 일본이 협상을 타결하면서 향후 5천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를 하기로 약속했고, 미국 측은 한국에도 4천억 달러의 대미 투자를 요구했다는 외신 보도까지 나왔습니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경제 365
댓글 아이콘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