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영호 통일부 장관이 20일 내란특검 사무실이 마련된 서울 서초구 서울고검에 조사를 받기 위해 출석하고 있다.
내란 특검팀이 오늘(20일) 오전 김영호 통일부 장관을 소환했습니다.
김 장관은 특검팀 사무실이 있는 서울고검 청사에 출석하면서 비상계엄 전 국무회의 참석 경위 등을 묻는 취재진 질문에 아무런 답을 하지 않았습니다.
김 장관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계엄 선포 당일 자신의 계획을 알리기 위해 최초로 불렀던 5명의 국무위원 중 한 명입니다.
지난해 12월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 조사에서 김 장관은 계엄 당일 오후 8시 6분쯤 윤 전 대통령으로부터 "용산으로 가능한 한 빨리 들어오라"는 전화를 받은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대통령실에 있던 한덕수 당시 국무총리로부터 "대통령께서 계엄을 선포하려는 것 같다"는 말을 들은 뒤 "계엄이 선포된다면 경제, 외교, 안보 분야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계엄에 반대한다"고 말했다는 게 김 장관 진술이었습니다.
한 전 총리 등의 만류에도 윤 전 대통령이 "국정이라고 하는 것이 대통령이 보는 것과 장관들이 보는 것이 다르다"면서 계엄 선포를 강행했다고 김 장관은 진술한 바 있습니다.
김 장관은 지난해 12월 4일 새벽 비상계엄 해제를 위해 열린 국무회의에는 잠이 들어 용산 국무회의실로 나와달라는 방기선 전 국무조정실장의 텔레그램 메시지를 읽지 못하면서 참석하지 못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특검팀은 어제도 조태열 전 외교부 장관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한 바 있습니다.
내란 특검팀은 오늘 오전 10시로 예정됐던 김용대 드론작전사령관 재소환 일정은 연기했습니다.
지난 17일 일반이적죄 등 혐의 피의자 신분인 김 사령관을 상대로 북한 평양 무인기 침투 작전을 조사한 특검팀은 김 사령관을 다시 조사한 뒤 신병 처리 방향을 결정할 것으로 보입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