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분양가가 갈수록 오르는 등 청약 당첨이 '하늘의 별따기'가 되면서 청약 통장에 가입한 지 5년이 안 되는 단기 가입자의 수가 3년 새 2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으로 주택 청약 종합 저축에 가입한 지 4년 이상 5년 미만인 사람은 모두 200만9천500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7.6%(약 16만5천명) 감소했습니다.
4년 이상 5년 미만 가입자 수는 지난 2022년부터 3년 연속 감소했는데, 2022년 6월과 비교하면 20.2%(50만9천명) 줄었습니다.
6개월 이상∼1년 미만 가입자는 지난달 말 총 112만2천222명으로 전년 동기와 비교해 9.2%(11만4천명) 줄었습니다.
이 구간 가입자가 줄기 시작한 2021년과 비교하면 4년만에 43.8% 감소했습니다.
작년과 올해 잇따라 '로또 청약' 물량이 나오며 청약 시장 분위기를 주도했던 서울은 가입자 감소 속도가 더 빨랐습니다.
서울의 가입 4년 이상∼5년 미만(35만9천576명)은 전년 대비 14.3%, 6개월 이상∼1년 미만(22만8천751명)은 11.0% 각각 줄었습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상대적 가입 기간이 길어 청약 시장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는 장기 가입자들은 크게 늘어난 모양새입니다.
전국의 10년 이상∼11년 미만 가입자는 지난달 말 기준 121만5천36명으로 39.1%(34만2천명) 늘었습니다.
15년 이상 통장을 보유한 사람은 40.4%(75만7천명) 확대했습니다.
이를 아우르는 전체 통장 보유자는 2천511만1천729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2천550만6천389명)과 비교해 1.5%(39만4천660명) 감소했습니다.
단기 가입자가 빠르게 감소하는 데에는 정부가 주택 관련 대출 규제를 강화하는 가운데 서울 인기 단지를 중심으로 아파트 분양가가 빠르게 오르는 현상이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6월 말 기준 서울의 ㎡당 평균 분양가는 1천393만9천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9.97% 상승했습니다.
국민평형 공급면적(112㎡)기준으로 환산하면 약 15억6천만원이 평균인 셈입니다.
분양가도 높지만 인기 단지일수록 경쟁률이 치솟아 장기가 아닌 웬만한 가입 기간으로는 청약 시장에 '명함도 못 내미는' 수준입니다.
이달 초 성동구에 공급된 '오티에르 포레'만 해도 1순위 공급 경쟁률이 평균 688.1대 1에 달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주택 담보 대출과 소유권 이전 조건부 전세대출을 금지한 6·27규제 영향으로 단기 가입자 이탈이 더 늘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왔습니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최근 분양가는 계속 오르는데 공급은 안 나온다고 하고, 이런 상황에서 3∼5년짜리 통장을 쥐고 있어봐야 15년, 20년 이상 된 가입자한테 안 된다고 생각하는 것"이라고 진단했습니다.
이어 "6·27규제 등으로 분양 시장 분위기가 가라앉으면 청약 통장에 대한 관심도 사라져 신규 가입이 줄거나 기존 가입자 이탈도 나올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치솟는 분양가에…청약통장 5년 미만 가입자 3년 새 20%↓
입력 2025.07.20 09:55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