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일본 14년 만에 원전 건설 추진…간사이전력, 미하마 부지 검토

일본 14년 만에 원전 건설 추진…간사이전력, 미하마 부지 검토
▲ 일본 후쿠이현 미하마 원전

일본에서 2011년 동일본 대지진과 후쿠시마 제1원전 사고 이후 처음으로 원전 신설이 추진됩니다.

오늘(19일) 아사히신문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간사이전력은 혼슈 중서부 후쿠이현 미하마 원전 부지에 새로운 원전을 건설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간사이전력은 이르면 다음 주쯤 후쿠이현 지자체에 이 같은 구상을 설명하고, 원전 신설을 위한 현장 조사를 시작할 계획입니다.

이 회사는 2010년, 노후한 미하마 원전 1호기를 대체할 신규 원전 건설을 추진했으나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계획을 중단했습니다.

미하마 원전 1·2호기는 이미 폐기가 결정됐고, 현재는 3호기만 가동 중입니다.

아사히신문은 "미하마 원전 주변의 지질·지형 조사를 다시 시작하는 것이 논의되고 있다"고 전하면서,"관련 사업이 원점에서 재검토될 가능성도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모리 노조무 간사이전력 사장은 최근 "원전 신설과 증설을 검토할 시기가 왔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간사이전력은 후쿠이현에서만 7기의 원전을 운영하고 있는데, 이 중 5기는 운전 시작 후 40년이 넘었습니다.

일본은 원전의 최대 가동 연한을 60년 이상으로 허용하고 있지만, 신설에만 20년 가까이 걸리는 만큼 간사이 전력이 미리 착수하려는 것으로 보입니다.

일본 정부는 올해부터 원전 활용 기조를 전환했습니다.

2011년 대지진 이후 줄여왔던 원전 의존도를 높이기로 방침을 바꿨고, 전체 전력 생산에서 원전 비중을 기존 8.5%에서 2040년까지 20%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이를 위해 현재 가동 중인 원전 수를 2배 이상으로 늘려야 하며, 폐기된 원전 부지에 차세대 원자로를 건설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간사이전력 관계자는 "대지진 직후와 비교하면 원자력의 가치를 인정하는 사람이 늘었다"며 "우리가 처한 에너지 환경이 달라졌다"고 말했습니다.

닛케이는 "일본에서 마지막으로 지어진 원전은 2009년 가동된 홋카이도전력의 도마리 3호기"라며 "정부가 탈탄소 목표 달성을 위해 원전 활용에 본격 나서기 시작했다"고 분석했습니다.

일본 정부는 오늘 도쿄 총리 관저로 후쿠시마 제1원전 사고 당시 수거한 방사성 오염 흙, 이른바 '제염토'를 반입했습니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제염토가 후쿠시마현 밖으로 반출돼 재활용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일본 정부는 관저 정원에 제염토를 60㎝ 높이로 깔고, 그 위에 일반 흙을 덮은 뒤 잔디를 기를 계획입니다.

또 2045년까지 후쿠시마현 중간 저장시설에 쌓인 제염토와 방사성 폐기물을 후쿠시마현 외부로 모두 반출해 처분할 방침입니다.

(사진=교도,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딥빽X온더스팟
댓글 아이콘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