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 원으로 제한하는 6·27 대책 시행 이후 10억 원을 초과하는 고가 아파트 계약 취소 비중이 눈에 띄게 커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6일 부동산 중개업체 집토스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토대로 지난달 27일까지 매매 계약된 수도권 아파트의 계약 해제 현황을 분석한 결과 대책 발표 이후 신고된 계약 해제 중 10억 원 초과 아파트 비중은 35.0%로 대책 발표 이전(26.9%) 대비 8.1%포인트 증가했습니다.
같은 기간 5억 원 이하 아파트 매매 계약 해제는 32.2%에서 25.1%로, 5억 원 초과∼10억 원 이하는 40.9에서 40.0%로 줄어든 것과는 대조적인 모습입니다.
투자 금액이 큰 고가 아파트일수록 향후 가격이 하락하면 손실 규모가 커 매수자들이 '상투를 잡았다'는 심리적 부담을 느껴 계약금 손실을 감소하고 매수를 취소하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고가 아파트가 밀집한 서초구는 계약 해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대책 발표 이전 2.5%에서 이후 5.7%로, 강남구는 5.1%에서 6.5%로 커졌습니다.
한편 집값 상승 폭이 크지 않았던 노원구(5.3%→7.3%)와 도봉구(1.4%→1.9%), 강북구(1.3%→1.9%)도 매매 계약 해제 비중이 함께 상승했습니다.
이는 자기자본이 부족한 '영끌' 매수자들이 향후 집값 하락과 이자 부담을 우려한 나머지 서둘러 계약을 해제한 것으로 보인다고 집토스는 분석했습니다.
이재윤 집토스 대표는 "이번 대책은 '집값이 조정될 것'이라는 강력한 메시지를 시장에 던진 셈"이라며 "고가 아파트 매수자에게는 자산 방어 심리를, '영끌' 매수자에게는 손실 최소화 심리를 자극하며 계약 취소라는 동일한 행동으로 이끌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6·27 대책 이후 10억 초과 아파트 계약 취소 비중 8.1%p↑
입력 2025.07.16 09:51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