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이와 함께 특검팀은 건진법사 전성배 씨가 국책은행인 산업은행과 기업은행의 인사 청탁을 받은 정황도 포착하고, 수사에 나선 걸로 저희 취재결과 확인됐습니다. 이뿐 아니라 검찰과 경찰 인사 청탁 정황이 담긴 문자메시지 수십 건도 확보해 수사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이어서, 전연남 기자 보도합니다.
<기자>
김건희 특검팀은 전성배 씨가 지난 2022년 지방선거 당시 공천 청탁을 한 것으로 지목된 사업가 김 모 씨로부터 산업은행 간부에 대한 인사청탁을 받은 정황을 포착했습니다.
지난 2022년 11월, 김 씨가 전 씨에게, 산업은행 간부 A 씨를 부행장으로 임명되도록 해달라며, A 씨의 명함 사진과 인적 사항을 보낸 문자 메시지를 확보한 겁니다.
A 씨는 이듬해 1월 인사에서 부행장으로 임명되진 않았지만, 본부장급으로 승진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A 씨와 별도로 김 씨가 "B 씨를 기업은행장으로 추천한다"는 취지의 인사 청탁성 문자메시지를 전 씨에게 보낸 사실을 특검팀은 확인했습니다.
전 씨는 이에 대해 기업은행의 2대 주주인 "산업은행을 신경 써야 한다"는 내용의 문자메시지를 김 씨에게 보낸 걸로 파악됐습니다.
특검은 정부가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국책은행인 산업은행과 기업은행 고위급 인사에 전 씨가 김건희 여사 등을 통해 관여했을 가능성을 의심하고 있습니다.
현직 검사 인사와 관련해 전 씨가 청탁을 받은 정황도 드러났습니다.
김 씨가 지난 2022년부터 약 4차례에 걸쳐 "앙청드립니다"라는 표현과 함께, 검찰 간부인 C 검사의 이름과 생년월일, 직책이 담긴 청탁성 문자 메시지를 전 씨에게 보낸 겁니다.
특검팀은 C 검사 외에도 검찰, 경찰 인사 관련 수십 건의 청탁 메시지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에 대해 문자에 언급된 산업은행 간부 A 씨는 SBS 취재진에 전 씨와 김 씨를 전혀 모르고 계획대로 승진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C 검사도 전 씨와 김 씨는 물론이고, 청탁이 있었다는 사실도 알지 못했다고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 윤 형, 영상편집 : 최혜란)
댓글 아이콘댓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