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통일부→한반도부 변경 검토"…'두 개 국가론' 위 "실용 전략" [자막뉴스]

"통일부→한반도부 변경 검토"…두 개 국가론 위 "실용 전략" [자막뉴스]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가 오늘(14일) 통일부 명칭 변경이 "국민의 대표기관인 국회에서 여야가 함께 의논해야 할 아주 중요한 사안"이라는 의견을 밝혔습니다.

정 후보자는 오늘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윤후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통일부 명칭 변경 관련 질의를 받았습니다.

[윤후석 더불어민주당 의원: 뭐 대표적인 것만 이렇게 올려봤어요. 남북협력부, 평화협력부, 한반도부, 한반도정책부, 평화통일부, 남북관계부…]

이에 대한 의견을 묻자 정 후보자는 "명칭 변경을 검토할 가치가 충분하다"며 독일의 사례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습니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 1969년 브란트 정권 등장 이후 전독부를 내독부로 바꿨습니다. 전독부는 우리 말로 하면 통일부인데 통일을 통해서 대독일주의로 가려고 하는 우려가 주변 국가에 있었던 반면 내독부로 전환함으로써 주변국의 우려를 씻었습니다. 그리고 이어서 이것은 동서독 기본조약 유엔 가입까지 이어졌습니다.]

그런 차원에서 "통일부 명칭 변경 검토가 필요하고, 국회에서 여야가 함께 의논해야 할 아주 중요한 사안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정 후보자는 북한이 2023년 말 남북관계를 '적대적 두 개 국가론'이라고 선언한 원인에 대해 "강대 강의 산물"이라며 "남쪽 정부에서 '주적'을 얘기하고 '선제타격'을 얘기한 데 대한 북의 대응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과거 동·서독의 통일도 사실상의 두 국가를 인정하면서 화해와 교류 협력을 통해 통일로 다가갔고, 이재명 정부가 가야 할 길도 바로 이런 실용주의 노선"이라면서 두 개 국가론이 평화적인 협력에 장애물이 되지 않음을 강조했습니다.

(취재: 배성재, 영상편집: 소지혜, 디자인: 백지혜, 제작: 디지털뉴스편집부)
NAVER에서 SBS NEWS를 구독해주세요
댓글 아이콘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