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러시아 외무 "푸틴·김정은 지속적 소통"…정상회담 가능성 시사

러시아 외무 "푸틴·김정은 지속적 소통"…정상회담 가능성 시사
▲ 제58차 아세안 외교장관 회의 및 관련 회의 중, 러시아-아세안 확대 외교장관회의에 러시아의 세르게이 라브로프 외무장관이 참석하고 있다.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이 오늘(12일)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정상회담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러시아 언론에 따르면 라브로프 장관은 북한 강원도 원산에서 최선희 북 외무상과 회담한 뒤 기자회견에서 양국 정상이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있으며 미래에 직접 만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라브로프 장관은 회담의 구체적인 시점과 장소에 대해서는 합의를 통해 정해질 것이라며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북한과의 고위급 접촉을 포함한 대화 재개 필요성에 대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발언을 주목하고 있다고도 말했습니다.

라브로프 장관은 "북미 간 접촉 재개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을 들었고 북한도 이를 들었다"면서도 "아직은 여기까지"라며 추가적인 진전은 없는 상황이라고 전했습니다.

다만 라브로프 장관의 이 발언이 북핵 해결 의지를 피력해온 트럼프 대통령의 평소 발언에 관한 것인지 미국 측에서 별도로 접촉 재개 의사가 전달됐다는 의미인지는 아직 불확실합니다.

북한의 우크라이나 전쟁 파병에 대해서는 "북한 지도자의 제안에 응하고 있고 진정성 있는 이런 연대 행위를 거부할 이유가 없다"며 지원 형태는 북한이 스스로 결정할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북한군의 추가 파병을 염두에 둔 발언일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국가정보원은 지난달 26일 북한의 러시아 추가 파병이 이르면 7∼8월에 이뤄질 것으로 예측한 바 있습니다.

북한의 핵개발에 대해서는 이해하고, 존중한다는 의사를 표했습니다.

라브로프 장관은 "북한이 사용하는 기술은 자국 과학자들의 노력의 산물이며, 우리는 북한의 열망을 존중하고 핵개발을 추진한 이유를 이해한다"고 말했습니다.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인 북한의 핵개발을 사실상 용인한 언급으로 풀이됩니다.

그는 또 러시아가 북한의 이익을 기준으로 남북 간 평화를 촉진할 준비가 돼 있으며, 한국의 행동에 따라 북한에 대한 한국의 태도를 평가할 것이라고도 했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귀에 빡!종원
댓글 아이콘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