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장중 4조 달러 돌파한 엔비디아…뉴욕 증시 동반 강세 마감

장중 4조 달러 돌파한 엔비디아…뉴욕 증시 동반 강세 마감
▲ 엔비디아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기술주 주도로 강세를 보이면서 동반 상승 마감했습니다.

특히 엔비디아는 장중 사상 최초로 시가총액 4조 달러를 돌파했습니다.

9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17.54포인트(0.49%) 오른 44,458.30에 거래를 마감했습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37.74포인트(0.61%) 상승한 6,263.26, 나스닥종합지수는 192.87포인트(0.94%) 뛴 20,611.34에 장을 마쳤습니다.

이날 시장의 주인공은 엔비디아였습니다.

장 초반 주가가 164.42달러까지 뛰면서 사상 처음으로 시총 4조 달러의 영역을 개척했습니다.

전 세계 기업 중 최초입니다.

장 후반 차익 실현 매물이 나오면서 마감가 기준 시총은 4조 달러를 하회했으나 곧 탈환할 것이라는 기대감은 여전히 살아 있습니다.

엔비디아는 2024년 2월 시총 2조 달러를 처음 돌파한 데 이어, 같은 해 6월 3조 달러를 넘어선 후 약 1년 만에 4조 달러 고지에 올랐습니다.

이 같은 흐름에 기술주 전반으로 열기가 확산하면서 S&P500 지수와 나스닥 지수는 또다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베어드의 로스 메이필드 투자 전략가는 "시장은 관세 위협을 무시하고 거래와 협상의 여지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며 "8월 1일까지 마감일을 연장하고, 마감일이 더 연기될 수도 있다는 언급이 나오는 것은 협상 의지가 있음을 인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시장은 다른 증거가 나올 때까지 이러한 움직임을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날 8월 1일 이후로는 관세 부과 시점을 연장하지 않겠다고 으름장을 놨으나 시장은 개의치 않았습니다.

트럼프가 관세를 협상 카드로 활용하는 만큼 또다시 조정될 수 있다고 시장은 보기 때문입니다.

트럼프는 이날 필리핀을 포함한 7개국에 새롭게 관세율을 명시한 서한을 보냈으나 시장은 오히려 불확실성 해소로 여기는 분위기입니다.

인도와 유럽연합(EU)에 아직 서한이 발송되지 않은 점에 대해선 협상에 진척이 있다고 시장은 보고 있습니다.

업종별로는 필수소비재와 에너지, 부동산을 제외한 모든 업종이 강세였습니다.

유틸리티는 1% 상승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와 아마존, 메타, 알파벳이 1%대 상승세를 보이며 인공지능(AI)이 여전히 시장의 주도 테마라는 점을 확인시켜 줬습니다.

테슬라는 최근 약세로 시총이 1조 달러를 밑돌고 있습니다.

세계 최대 커피 체인 스타벅스는 최대 100억 달러의 기업가치를 인정받는 중국 사업부문의 지분 매각을 진행 중이라는 소식에도 강보합에 그쳤습니다.

미국 에너지 기업 AES는 회사 매각 검토 소식이 전해지며 20% 급등했습니다.

반면 유나이티드헬스그룹은 미국 법무부가 메디케어 청구 관행에 대해 수사에 착수한 것으로 전해지면서 2% 가까이 하락했습니다.

오후에 공개된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은 연내 기준금리 인하를 놓고 의견들이 부딪치고 있음을 확인해줬습니다.

의사록에 따르면 지난달 회의에서 "두 명의(a couple of)" 참가자는 "데이터가 예상대로 전개된다면 그들은 다음 회의에서 정책금리 목표 범위 인하를 검토하는 데 열려있을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경제 365
댓글 아이콘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