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1차 추경 집행에도…KDI, 이달 여전히 어두운 경기 진단

설 대목 맞은 전통시장
최근 우리 경제가 1차 추가경정예산(추경) 집행에도 여전히 미약한 경기 흐름을 보인다는 국책연구기관의 진단이 나왔습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오늘(8일) 발표한 '7월 경제동향'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건설업 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대외 여건도 악화하며 경기가 전월과 비슷한 정도의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고 밝혔습니다.

KDI는 지난 5월 2년여 만에 '경기 둔화'라는 표현을 사용한 이후 비슷한 판단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지난 5월부터 집행된 1차 추경 효과가 아직 뚜렷하게 나타나지는 않았다는 의미로도 해석됩니다.

이번 경기 진단에는 최근 공개된 5월 경제지표와 6월 수출동향 등이 반영됐습니다.

KDI는 "건설업 부진이 지속된 가운데 제조업도 조정되며 생산 증가세가 약화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반도체 수출과 생산이 양호한 흐름을 유지했으나 자동차 등 관세가 큰 폭으로 인상된 품목을 중심으로 대(對) 미국 수출이 부진했으며 이에 따라 제조업 생산의 증가 폭도 축소됐다고 분석했습니다.

실제로 지난 5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제조업 생산은 전월보다 3.0% 줄었습니다.

자동차(-2.0%)는 두 달 연속 감소했으며, 전방산업인 자동차·건설업 부진 여파로 금속가공(-6.9%)도 큰 폭으로 줄었습니다.

다만 재해 극복 등에 방점이 찍힌 1차 추경과 달리 2차 추경안에는 경기부양책이 포함되면서 일부 내수 진작 효과가 있을 것으로 KDI는 내다봤습니다.

KDI는 "소비심리가 회복세를 보이며 내수 여건이 개선될 가능성을 시사했다"고 밝혔습니다.

소비는 여전히 미약하지만 소비 심리는 빠르게 회복되는 모습이라는 의미입니다.

6월 소비자심리지수(108.7)는 전월(101.8)에 이어 큰 폭으로 상승했습니다.

KDI는 "고금리 기조가 점차 완화되고 2차 추가경정예산이 편성되면서 향후 소비 회복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습니다.

단 상호관세 유예 종료가 다가오며 통상 관련 불확실성은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고 진단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경제 365
댓글 아이콘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