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2명 중 1명은 하반기 집값 상승 전망…4년 만 최고치

2명 중 1명은 하반기 집값 상승 전망…4년 만 최고치
정부의 초강력 대출 규제에도 올 하반기 주택 매매가격 상승 전망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부동산 빅데이터 전문업체 부동산R114는 지난달 17일부터 지난 1일까지 전국 961명을 대상으로 하반기 주택시장 전망 설문조사를 한 결과, 49%가 주택 매매가격 상승을 전망했다고 오늘(7일) 밝혔습니다.

이는 직전 조사 때와 비교해 17%포인트 늘어난 것인데, 2021년 하반기 상승 전망이 62%를 기록한 이후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입니다.

주택 매매 가격 전망에 대한 소비자 응답 비중 추이

반면 하락을 점친 응답자 비중은 직전 조사보다 12%포인트 줄어든 13%로 나타났습니다.

상승 전망과 마찬가지로 하락 전망도 4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2025년 하반기 주택 매매 가격 전망 요인 (사진=부동산R114 제공, 연합뉴스)

매매가격 상승을 전망한 응답자들은 '핵심 지역의 아파트 가격 상승'(32.0%)을 가장 큰 이유로 손꼽았습니다.

새 정부가 들어서고 서울의 고가 아파트와 한강벨트 지역을 중심으로 거래량 증가와 함께 신고가 경신 사례가 나타나는 등 주택 매수 심리 개선세가 감지된다는 이유에서입니다.

'기준 금리 추가 인하 가능성'(13.6%)'과 '정부의 주요 규제 개선 전망'(9.8%), '급매물 위주로 실수요층 유입'(9.5%), '서울 등 주요 도심의 공급부족 심화'(9.1%) 등도 주원인으로 지목됐습니다.

반면 매맷값 하락을 전망한 응답자 10명 중 3명은 '대출 규제로 인한 매수세 약화'(34.1%)로 인해 하락이 불가피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본격화된 대출 규제 강화 조치에 더해 새 정부의 6·27 대책 발표,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도입 등으로 주택담보대출 승인을 받기 쉽지 않은 환경이라는 것입니다.

뒤이어 '경기 침체 가능성'(25.2%), '대출 금리 부담 영향'(7.3%), '가격 부담에 따른 수요 감소'(7.3%), 이자 및 세금 부담으로 인한 매도물량 증가(7.3%) 등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2025년 하반기 임대차 시장 가격 전망 (사진=부동산R114 제공, 연합뉴스)

한편 전셋값에 대해서도 상승을 전망한 응답자가 더 많았습니다.

전셋값 상승을 전망한 응답자는 458명(47.7%)이며 이 중 145명(31.7%)은 매수심리 위축으로 전세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최근 전세의 월세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가운데 18.8%는 '임대인의 월세 선호로 인한 전세 물건 공급 부족'으로 전세가가 오른다고 예상했고, 이 외에 '서울 등 주요 인기 지역의 입주 물량 부족'(18.6%), '월세 오름세에 따른 전세가 상승 압력'(12.4%), '청약을 위한 일시적 전세 거주 증가'(12.0%) 등이 원인으로 지목됐습니다.

하락을 전망한 응답자는 '정부의 전세시장 안전대책 효과'(23.1%)로 전세가가 내릴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하반기 부동산 시장의 핵심 변수로는 국내외 경기 회복 속도 등 대외 경제여건(18.4%)가 1순위로 지목됐습니다.

이어 '대출, 세금 등 부동산 규제 환경 변화 여부'(16.5%)'와 '한국은행 기준금리 동결 및 인하 여부'(14.7%)가 각각 2, 3순위를 차지했습니다.

부동산R114는 매년 두 차례 주택시장 전망 조사를 실시하며 설문조사의 표본 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6%포인트입니다.

(사진=부동산R114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귀에 빡!종원
댓글 아이콘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