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상반기 국제선에 4,603만 명 '역대 최대'…중국 152만·일본 120만↑

상반기 국제선에 4,603만 명 '역대 최대'…중국 152만·일본 120만↑
▲ 지난 5월 황금연휴 앞두고 북적이는 인천공항 제1터미널 출국장

올해 상반기 국내 공항에서 국제선 항공편 탑승객이 4천600만 명을 넘어서며 상반기 기준 역대 최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토교통부와 인천국제공항공사·한국공항공사 등에 따르면 지난 1∼6월 국내 공항에서 출발·도착한 국적 항공사와 외항사의 국제선 항공편 이용자는 총 4천602만 9천842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작년 상반기(4천277만여 명)보다 7.6% 증가한 것으로, 국토부 통계상 역대 상반기 기준 최대였던 2019년 상반기(4천556만 명)보다도 47만 명(1%)가량 많습니다.

항공편 운항 편수도 26만 4천253편으로 지난해 상반기와 비교해 5.6% 늘었고 2019년(26만 3천681편) 수준을 넘겼습니다.

1년 사이 국제선 승객은 단일 국가 중 중국 노선에서 가장 많이 늘었습니다.

올해 상반기 781만여 명이 한중 하늘길을 오가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52만여 명(24.3%) 증가했습니다.

중국 노선 승객 증가세는 지난해 11월 한국인에게 적용된 비자 면제 조치가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한국을 찾는 중국인 관광객 수도 회복 중인 가운데 올해 3분기 중 한국 정부가 중국 단체관광객에 한시 비자 면제를 시행하면 증가세가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중국, 한국 등 9개국 여권 소지자 무비자 입국 시행 (사진=연합뉴스)

중국에 이어 상반기 더욱 붐빈 노선은 일본 노선이었습니다.

작년 같은 기간보다 120만여 명(9.9%) 증가한 1천343만여 명이 이 노선에서 항공편에 탑승했습니다.

일본 노선은 수년간 이어진 엔저 현상으로 꾸준히 승객이 몰리고 있습니다.

또 항공사들이 최근 일본 소도시를 중심으로 노선을 확장하면서 재방문 수요가 커진 점도 높아진 인기에 한몫한 것으로 보입니다.

올해 상반기 국제선 승객은 미주(332만여 명, 전년 대비 7.8%↑), 유럽(225만여 명, 3%↑), 중동(53만여 명, 5.2%↑) 등 장거리 노선에서도 대체로 늘었습니다.

공항별로는 인천공항에서 3천611만여 명이, 나머지 6개 국제공항(김포·김해·제주·청주·대구·양양)에서 991만여 명이 국제선 항공기에 타고 내렸습니다.

작년 동기와 비교해 인천공항의 국제선 승객은 6.1% 증가했습니다.

김포(213만 명·11.9%↑), 김해(492만 명·14.9%↑), 제주(134만 명·19.6%↑), 청주(78만 명·9.4%↑), 대구(71만 명·5.8%↑) 등 5개 지방 국제공항에서는 승객이 늘었고, 양양공항은 6천963명에서 6천7명으로 13.7% 줄었습니다.

지난해 상반기 19만여 명의 승객이 이용한 무안국제공항은 지난해 말 여객기 사고 이후 폐쇄된 상태로 올해는 이용객이 없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경제 365
댓글 아이콘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