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위원장을 만나서 회담도 하고 공연도 함께 관람을 했는데요.
이 공연, 좀 주목해 볼 부분이 있었습니다.
![[한반도 포커스] "우린 혈맹이야, 그거 잊으면 안 돼" 러시아 앞에서 강조한 북한](https://img.sbs.co.kr/newimg/news/20250704/202088100_500.jpg)
공연은 지난달 29일에 있었는데요.
러시아 예술단의 공연에 이어서 북한 예술단의 답례 공연이 진행이 됐습니다.
그런데 북한 예술단의 답례 공연에서 무대 뒷 배경에 러시아로 파병된 북한군의 전투 장면이 등장했습니다.
북한군 전투 장면을 북한 주민들에게 공개한 건 이번이 처음인데요.
![[한반도 포커스] "우린 혈맹이야, 그거 잊으면 안 돼" 러시아 앞에서 강조한 북한](https://img.sbs.co.kr/newimg/news/20250704/202088099_500.jpg)
뿐만 아니라 김정은이 평양에 도착한 북한군 전사자 유해를 맞이하는 장면 또한 처음으로 공개가 됐습니다.
해외에서 목숨을 잃은 전사자들이 고국으로 돌아올 때 최고 지도자가 직접 나가서 최대한의 예우를 갖추었다는 걸 보여주기 위한 것이겠죠.
북한은 또 이날 공연에서 북한군 전사자를 추모하는 노래들을 선보였습니다.
![[한반도 포커스] "우린 혈맹이야, 그거 잊으면 안 돼" 러시아 앞에서 강조한 북한](https://img.sbs.co.kr/newimg/news/20250704/202088098_500.jpg)
[우리의 영웅들. 내 조국의 빛나는 별들이여.]
사실 이역만리타국에 애꿎은 젊은이들을 보내서 총알받이로 죽게 한 책임, 누가 뭐래도 김정은에게 있습니다.
북한군 포로가 한 말을 보면은요.
누구랑 싸우는지도 모르고 전쟁에 투입됐다는 거 아니겠습니까?
그런데 이렇게 어이없게 사람을 죽게 해 놓고 이런 죽음을 애도하는 것처럼 김정은의 이미지를 미화시키고 있는 겁니다.
이런 이미지 조작을 위해서 북한이 이번 공연에 상당히 공을 들였다 이렇게 볼 수 있는 대목인데요.
이것 말고도 1가지 더 주목해 볼 부분이 있었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대로 이번 공연은 러시아 측 공연과 북한 측의 답례 공연 이렇게 2가지로 진행이 됐는데요.
북한군 전사자를 추모하는 내용은 북한 쪽 공연에서만 나왔다는 겁니다.
러시아 측 공연은 대개 러시아의 전통문화와 풍습, 민속무용 등으로 구성이 됐는데, 북한 측 공연에서는 파병 군인들의 성과와 희생을 기리는 내용이 핵심으로 등장을 했습니다.
북러 신동맹 조약 1주년을 맞아 방북한 러시아 사절단을 관객으로 앉혀 놓고 북한 측의 희생을 강조한 건데요.
이건 뭐냐?
"북한의 젊은이들이 러시아를 위해서 이렇게 많이 죽었다, 그만큼 우리는 혈맹이다, 그러니까 나중에 북한이 어려울 때 러시아가 절대로 모른 체해서는 안 된다" 이런 내용을 강조한 걸로 보입니다.
이번 파병에 대한 보상도 물론 러시아가 확실히 해야 되지만, 앞으로도 파병의 은혜를 절대로 잊어서는 안 된다 이런 걸 러시아에 강조한 걸로 보입니다.
물론 정세는 변화하는 것이기 때문에, 북러 관계가 앞으로 어떻게 변해갈지는 지켜봐야 되겠습니다만, 지금 시점에서는 북한이 러시아를 확실한 안전판으로 잡아두려는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