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초강수 규제에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 '주춤'…일부 지역은 올라

초강수 규제에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 '주춤'…일부 지역은 올라
정부의 고강도 대출 규제 발표 직후 서울의 아파트 매매 가격 상승 폭이 다소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집값 상승의 진원지인 강남권에서 상승 폭 둔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면서 서울 아파트값의 가파른 상승세가 정부의 조치를 계기로 주춤하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일각에서 나옵니다.

다만 양천이나 영등포 등의 지역은 여전히 기록적인 상승세를 보인 데다가 이번 조사 기간 일부만 정부 조치의 영향을 받았다는 점에서 실질적인 효과가 어떨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6월 다섯째주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사진=한국부동산원 보도자료 갈무리, 연합뉴스)

오늘(3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6월 다섯째 주(6월 30일 기준)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 가격은 전주 대비 0.40% 상승했습니다.

이로써 서울 아파트값은 22주 연속 상승했으나 상승 폭은 전주(0.43%)보다 다소 줄었습니다.

특히 강남권 아파트의 매매 가격 상승세가 주춤한 모습입니다.

강남구(0.84%→0.73%), 서초(0.77%→0.65%), 송파(0.88%→0.75%), 강동(0.74%→0.62%) 등 강남권은 물론 용산(0.74%→0.58%), 성동(0.99%→0.89%), 마포(0.98%→0.85%) 소위 한강변 선호 지역의 가격 상승 폭이 모두 전주보다 줄었습니다.

다만, 양천구가 0.60% 오르며 2019년 12월 셋째 주 이후 5년 7개월 만에 최대 상승 폭을 기록하는 등 일부 지역에선 거침없는 상승세가 계속됐습니다.

영등포구도 0.66% 오르며 부동산원이 관련 통계를 발표하기 시작한 2013년 1월 첫째 주 이래 최고 상승률을 나타냈습니다.

경기도에선 과천이 0.98% 오르며 2018년 9월 둘째 주(1.22%↑) 이후 최대 상승 폭을 나타냈고, 성남시 분당구도 2018년 1월 다섯째 주(1.33%↑) 이후 가장 높은 1.17%의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부동산원은 "재건축 추진 단지 및 주요 단지를 중심으로 매매 가격이 상승하는 가운데 선호 지역 내 매수 문의가 감소하면서 서울 전체 상승 폭은 소폭 축소됐다"고 밝혔습니다.

7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3단계 대출 규제 시행 등을 앞두고 시장 수요가 몰리며 급등하던 집값이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 원으로 제한한 정부의 고강도 대출 규제로 시장에 관망세가 나타나기 시작하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수도권을 보면 경기도와 인천이 서로 엇갈린 시장 흐름을 나타냈습니다.

경기는 과천과 분당의 상승세에 힘입어 전주 0.04%포인트 오른 0.09%의 상승률을 나타냈으나 인천(-0.02%)은 전주에 이어 하락세를 지속했습니다.

지방은 0.22% 내리며 57주째 하락했습니다.

5대 광역시와 8개도는 각각 0.04%, 0.01% 하락했습니다.

대통령 선거 전후로 급등했던 세종시도 0.02% 오르며 상승 폭이 크게 둔화했습니다.

6월 다섯째주 시도별 아파트 전세가격지수 변동률 (사진=한국부동산원 보도자료 갈무리, 연합뉴스)

전국 아파트 전세 가격은 0.02% 오르며 전주의 상승 폭을 유지했습니다.

서울(0.09%→0.07%)은 상승 폭이 줄고, 수도권(0.04%→0.05%)은 확대됐습니다.

지방은 전주와 마찬가지로 0.01% 내렸습니다.

앞서 정부는 부동산원의 이번 조사 기간에 포함된 지난달 27일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 원으로 제한하는 '가계 부채 관리 강화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사진=한국부동산원 보도자료 갈무리,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경제 3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