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떼 지어 날아다니며 곳곳에 나타나고 있는 러브버그, 언제까지 이 벌레 때문에 불편해야 하나 답답하실 텐데요. 앞으로 일주일이 고비로, 7월 중순이 되면 사라질 걸로 보입니다.
급격히 개체 수가 늘어난 이 러브버그를 잡을 방법은 없는 건지, 친환경 방제에 나선 현장에 장세만 기후환경전문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기자>
낮 인천 계양산 정상, 짝짓기를 위해 신혼 비행에 나선 러브버그가 하늘을 뒤덮었습니다.
방제용 비닐 띠에는 붙잡힌 벌레들이 시커멓게 달라붙었습니다.
조망용 망원경에도, 나무 계단에도 온통 벌레 천지입니다.
가장 심했던 지난 주말보다는 개체 수가 절반 가까이로 줄어들었는데도 이 정도입니다.
앞으로 1주일이 대발생 고비인데, 7월 중순이 되면 모두 사라질 전망입니다.
외래종에다 사람 몸에 붙어 불쾌감을 줘 퇴치하라는 목소리도 크지만 딱히 해를 끼치진 않습니다.
농약의 부작용을 우려해서 친환경적인 방제법을 테스트해 왔는데, 효과가 어떤지 보겠습니다.
북한산 자락에 설치한 포집 장치, 장미꽃 향기가 러브버그를 유인한다는 미국 사례를 참고해 올해 처음 설치했는데, 효과는 기대 이하였습니다.
미국 러브버그와 국내종이 비슷하긴 하지만 세부적으로는 종류가 달라 생태 특성이 일치하지 않는 겁니다.
[박선재/국립생물자원관 연구관 : 종간 특이성에서 이 벌레를 유인하는 그런 성분이 좀 달라서 그런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을까 분석을 해보고요. 다른 또 유인 물질이라든가 어떤 페로몬 개발을 통한 (유인제 개발을 계획 중입니다.)]
야간 시간대 불빛으로 유인하는 장치는 그래도 효과가 있었는데 다른 곤충들까지 뒤섞여 잡힌다는 게 단점입니다.
현재로서는 효과적인 방제법을 못 찾은 상황이라, 6월 말부터 7월 초, 러브버그 대발생 시기에는 산이나 야외 공원 출입을 피하는 게 좋습니다.
(영상취재 : 이상학, 영상편집 : 김윤성)
댓글 아이콘댓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