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과 같은 인구 감소 추세가 이어질 경우, 100년 뒤 한국 인구는 현재의 15% 수준으로 줄어들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인구 전문 민간 싱크탱크인 한반도미래연구원은 오늘(2일) 출간한 '2025 인구보고서: 대한민국 인구 대전환이 온다'에서 2025년부터 100년간 장기 인구변화를 코호트요인법으로 추정했습니다.
코호트요인법은 출생, 사망 등 인구 변동 요인별 미래 수준을 예측한 뒤 이를 기준 인구에 반영해 미래 인구를 산출하는 방식입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가장 극단적인 저위 시나리오 기준으로 한국의 총인구는 현재 5천168만 명에서 2125년에는 753만 명까지 줄어들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현재 인구의 14.6% 수준인데, 933만 명인 현재 서울시 인구보다도 적은 수치입니다.
인구 감소 속도는 시간이 갈수록 가팔라질 전망입니다.
중위 시나리오 기준으로 2075년까지 인구는 약 30% 감소하고, 이후 50년 동안 인구가 절반 이상 줄어드는 급격한 하락세가 예상됩니다.
인구 감소와 함께 고령화도 심해질 걸로 보입니다.
2100년엔 15세에서 64세까지인 생산연령 인구 100명이 65세 이상 노인 140명을 부양해야 한다고 보고서는 내다봤습니다.
현재는 100명이 노인 30명 정도를 부양하고 있는데, 미래엔 역피라미드 사회가 현실화할 거라는 예측입니다.
연구원은 이번 보고서를 통해 출산과 양육 부담을 줄이기 위한 지원 확대, 일-가정 양립 문화 장착, 정년 연장과 계속 고용제도 확산, 이민 정책 재정비 등 정책 방향을 제시했습니다.
(취재 : 박세원, 영상편집 : 소지혜, 제작 : 디지털뉴스편집부)
[자막뉴스] 이러다 진짜 멸종?…"100년 뒤 한국인 15%만 남는다"
입력 2025.07.02 1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