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산업 산출액 절반이 수도권…경기·서울 편중 심화

산업 산출액 절반이 수도권…경기·서울 편중 심화
우리나라 경제와 산업의 수도권 집중 현상이 갈수록 심화하는 흐름이 수치로 재확인됐습니다.

한국은행이 오늘(2일) 발표한 '지역산업연관표'에 따르면, 수도권은 2020년 국내 전체 산업 산출액의 절반에 가까운 49.9%를 차지했습니다.

수도권 비중은 2010년 44.1%, 2015년 46.8%에 이어 계속 확대됐습니다.

수도권 안에서는 경기(25.8%), 서울(19.3%) 등의 순이었습니다.

수도권과 함께 충청권(12.9→13.7%)의 비중이 확대된 반면 동남권(18.0→15.4%), 대경권(9.8→8.7%), 호남권(9.8→9.4%) 등의 비중은 5년 전보다 축소됐습니다.

전체 부가가치에서 수도권이 차지하는 비중도 2015년 50.7%에서 2020년 54.0%로 늘어 동남권(13.4%), 대경권(8.2%), 호남권(8.6%), 충청권(12.5%) 등 다른 지역을 압도했습니다.

지역산업연관표는 전국을 지역 경제 단위로 나눠 작성한 투입 산출표로, 지역 간 상호 의존 관계를 분석하는 데 사용됩니다.

한은은 2003년부터 이 표를 작성했고, 5년마다 개편하는 기준년 산업연관표에 맞춰 새로 작성·공표해왔습니다.

지난 2020년 지역별 재화와 서비스 공급 구성을 보면, 수도권의 지역 내 생산(68.4%)과 경제권 내 이입(11.4%)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역 내 수요 비중은 강원(75.9%)이, 타지역 이출 비중은 서울(29.9%)이, 수출 비중은 울산(21.6%)이 각각 가장 높았습니다.

전체 산업 부가가치율 경우 제주(54.1%), 강원(52.9%), 서울(52.9%) 등 서비스 비중이 큰 지역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공산품의 부가가치율은 대전(39.6%), 경기(33.6%), 세종(33.4%) 등의 순으로 높았습니다.

중간재의 지역 내 생산품 사용 비중 상위권에는 서울(45.8%), 경기(40.3%) 등이 들었습니다.

타지역 생산품 사용 비중은 세종(69.2%), 대전(58.2%), 광주(55.5%) 등이 높았습니다.

최종 수요에서 자기 지역 내 생산품 수요가 차지하는 비중은 울산이 82.2%로 가장 높았고, 경기(75.7%), 전남(74.1%)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반대로 타지역 생산품 수요 비중은 세종(40.0%), 대전(31.0%), 대구(29.1%) 등이 높았습니다.

우리나라 지역 간 교역 규모는 2020년 1천719조 8천억 원으로, 2015년(1천359조 1천억 원)보다 26.5%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전체 지역 간 교역액 중 수도권으로의 이입이 43.8%, 수도권에서 다른 지역으로의 이출이 48.0%로 각각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5년 전과 비교하면 수도권의 순이출 규모는 26조 2천억 원에서 72조 9천억 원으로 크게 확대됐고, 충청권은 -2조 3천억 원에서 +12조 3천억 원으로 플러스 전환됐습니다.

수도권 내 교역(21.8%), 수도권과 충청권·동남권 간의 교역(28.4%)을 합하면 전체 지역 간 교역의 절반 이상이었습니다.

특히 서울과 경기 간 교역 비중이 15.5%로 가장 높았습니다.

지역 내 최종 수요에 의한 생산유발계수는 수도권(1.037)이 가장 컸습니다.

시도별로는 경기(1.090), 울산(1.073), 서울(1.012) 등의 순이었습니다.

아울러 타지역 생산유발효과는 대경권(0.928), 충청권(0.925) 등이 상대적으로 컸습니다.

지역 내 부가가치유발계수 역시 수도권(0.513)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타지역 부가가치 효과는 대경권(0.393), 충청권(0.391) 등이 컸습니다.

각 지역 부가가치의 지역 내 의존도는 평균 41.9%로, 강원(62.5%), 전북(53.9%), 대구(53.7%) 등이 높았습니다.

반면, 서울(43.3%), 세종(42.3%), 제주(41.0%) 등은 타지역 의존도가 높았습니다.

이밖에 취업유발계수는 제주(12.5), 대구(11.5), 전북(11.5) 등이 큰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이 수치는 지역의 국산품 최종 수요 10억 원이 해당 지역과 타지역에서 유발하는 전업 환산 기준 취업자 수를 의미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경제 365
댓글 아이콘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