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학생들의 과도한 학습부담과 이른바 '부모 숙제' 등으로 문제가 된 중고등학교 수행평가 제도가 올해 2학기부터 반드시 수업시간 안에 이뤄지도록 바뀝니다.
정성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학생들의 전인적 성장과 고차원적 사고 능력 발달을 지원하기 위해 1999년 도입된 수행평가.
하지만 수행평가가 학생들 학업에 부담을 준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습니다.
과목별로 수행평가 횟수가 너무 많고, 특정 시기에 집중되는 데다 이른바 '부모 숙제' 등으로 불리며 외부 도움을 받는 등 공정성 논란도 불거졌습니다.
교육부는 수행평가의 본래 취지를 회복하기 위해 올해 2학기부터 중고등학교의 모든 수행평가를 수업시간 내에 이뤄지도록 개선하기로 했습니다.
특히 부모나 학원 등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을 가능성이 컸던 '과제형 수행평가'나 과도한 준비가 필요한 '암기식 수행평가'는 운영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학교는 자체 점검표를 활용해 학습 부담 유발 요인을 스스로 개선하고, 시도교육청이 매 학기 시작 전 모든 학교의 수행평가 계획을 면밀히 점검한다는 계획입니다.
교육부는 8월까지 두 달 동안 시도교육청 별로 학교 관리자와 평가 담당자를 대상으로 수행평가 운영에 대한 현장 안내를 실시할 계획입니다.
수행평가 운영 과정에서 나타나는 어려움과 개선 요구를 검토해 필요한 경우 관련 지침도 개정할 예정입니다.
교육부는 수행평가는 단순한 시험을 넘어 학생의 성장과 변화를 지원하는 중요한 과정이라며 평가의 본래 목적에 집중할 수 있도록 현장과 지속적으로 소통하며 제도 개선을 이어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영상편집 : 오영택)
'부모 찬스' 막는다…중고생 수행평가는 수업 중에만
입력 2025.07.02 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