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경찰청 광역수사단
초등학교 3학년 때 가족을 잃어버린 남성이 경찰 수사 끝에 36년 만에 극적으로 가족을 다시 만났습니다.
서울경찰청 광역수사단 형사기동대는 1989년 5월 실종된 최모(45)씨를 찾아내 지난달 가족과 만남을 주선했다고 밝혔습니다.
최 씨는 1988년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어머니도 건강이 나빠지면서 서울 강동구의 고모 집에서 생활하게 됐습니다.
이후 초등학교 3학년이던 1989년 5월 돌연 자취를 감췄습니다.
당시 고모는 서울 강동경찰서에 실종 신고를 했으며, 그로부터 33년이 지난 2022년 7월 최 씨의 모친과 어렵게 만나게 된 후 서울 강서경찰서에 다시금 실종신고를 했습니다.
이 사건은 2024년 2월 장기실종사건 전담부서인 서울청 형사기동대로 이관돼 전면 재수사가 진행됐습니다.
경찰은 최 씨가 다녔던 초등학교의 생활기록부 열람을 시작으로 경찰 보유 데이터와 건강보험·통신사 가입 여부, 각종 지원금 지원 여부를 주기적으로 확인했습니다.
신원이 불분명한 무연고자일 가능성도 있다는 판단에 서울과 경기지역 등의 보호시설 52개소를 찾아 조사하고 무연고자 309명의 DNA를 채취했습니다.
노숙인 보호시설도 수시로 확인하고 홀트아동복지회 등을 통한 입양 여부를 확인했습니다.
어린이와 노인 등의 지문·사진부터 보호시설 입소자들의 사진과 실종 시기 등을 등록해 놓은 '실종자 프로파일링 시스템'도 활용해 수사하던 경찰은 최 씨로 의심되는 대상자를 39명으로 좁혔고, 이중 보호시설 입소기록 등을 확인해 1명을 특정해 냈습니다.
경찰은 부산의 한 소년보호시설 입소 당시 아동카드에 붙어있던 해당 인물의 사진을 고모에게 보여준 후 '최 씨가 맞다'는 대답을 들었습니다.
하지만 해당 인물의 생년월일이 최 씨와 달라 수사는 잠시 공전했습니다.
경찰은 이후 최 씨와 같은 1980년 태생에 이름이 같은 95명에 대해 조사하던 중, 최 씨가 1995년에 성본창설(부모가 누군지 모르는 등의 이유로 신분을 얻기 위해 스스로 성씨를 만드는 것)하며 생년월일을 다르게 적어낸 사실을 파악했습니다.
경찰은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유전자 감정을 거쳐 최 씨를 최종 확인했다"며 "지난달 가족과의 상봉을 주선한 뒤 수사를 마무리했다"고 밝혔습니다.
(사진=연합뉴스)
댓글 아이콘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