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주한미군 4천500명을 감축할 것이라는 언론보도에 대해 미 국방부가 공식 부인했습니다. 일단 논란은 진화된 걸로 보이지만, 트럼프 행정부가 이 문제를 놓고 또다시 압박에 나설 거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김태훈 국방전문기자입니다.
<기자>
미 국방부는 어제(23일) 오후 보도문을 통해 "주한미군을 감축할 것이라는 언론 보도들은 사실이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주한미군 2만 8천500명 중 약 16%인 4천500명을 다른 지역으로 배치하는 걸 검토한다는 월스트리트저널의 보도를 공식 부인한 겁니다.
앞서, 한반도 방위를 책임지는 미군의 장성들도 주한미군 감축을 반대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해왔습니다.
[마크 켈리/미 상원의원 : 주한미군은 적정 규모라고 생각합니까?]
[제이비어 브런슨/주한미군 사령관 : 주어진 임무와 비교하면 적정 규모입니다.]
그렇다고, 주한미군과 관련된 미국의 압박이 끝난 걸로 보는 낙관론은 성급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우리 군 내부에서는 주한미군 병력 16% 감축론의 실상은 주한미군 예산 16%를 한국 정부에 전가하려는 의도라는 관측이 나옵니다.
한국 정부의 방위비 분담금을 늘리겠다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의지도 확고한 걸로 파악됩니다.
주한미군을 한반도 이외 지역에 파병할 가능성도 점쳐집니다.
[문성묵/국가안보전략연구원 통일전략센터장 : '주한미군에 손대지 마라' 아마 (미군) 내부에서 그런 얘기가 있으니까…. 의사결정되려면 동맹국인 한국과 전혀 협의 없이 일방적으로 하지는 않을 거 아녜요.]
트럼프 행정부의 주한미군 관련 정책이 아직 구체적으로 드러나지 않는 가운데, 6·3 대선 이후 출범하는 새 정부가 주한미군 병력 규모와 분담금을 놓고 대미 협상에 들어갈 가능성도 커 보입니다.
(영상취재 : 박진호, 영상편집 : 정성훈)
댓글 아이콘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