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경기 부진에 얼어붙은 고용시장…신규 일자리 11분기 연속 감소

경기 부진에 얼어붙은 고용시장…신규 일자리 11분기 연속 감소
▲ 19일 열린 일자리 박람회 '2025 글로벌 탤런트 페어'

임금 근로 일자리 중 기업체 생성이나 사업 확장으로 새롭게 생긴 일자리가 11분기 연속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건설·제조업과 내수를 중심으로 경기 부진이 장기화하면서 고용 시장에 활력이 떨어지고 새 일자리가 사라지는 모습입니다.

오늘(22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임금 근로 일자리 중 신규 일자리는 244만 4천 개였습니다.

이는 2018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적은 수칩니다.

255만 2천 개였던 전년과 비교하면 1년 새 10만 8천 개 감소했습니다.

2022년 2분기 이후 11개 분기 연속 감소세입니다.

신규 일자리는 해당 분기에 기업체 생성이나 기업 내 사업확장 등 이유로 새롭게 생긴 일자리입니다.

즉 신규 일자리가 줄었다는 것은 기업이 기존 인력 외에 추가로 뽑는 '새 일자리'가 사라지고 있다는 뜻입니다.

내수 침체와 경제 성장률 둔화 등 경기 부진이 장기화고, 대내외 불확실성 급격히 확대되면서 기업들이 사업 확장·신규 채용을 꺼리는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산업별로 보면 건설업과 제조업에서 신규 일자리 감소가 두드러졌습니다.

4분기 건설업 신규 일자리는 45만 3천 개로 1년 전보다 5만 8천 개 감소했습니다.

2023년 2분기 이후 7개 분기 연속 감소세입니다.

취업자 기준으로도 건설업은 지난해 5월부터 지난달까지 12개월째 뒷걸음질하고 있습니다.

제조업 신규일자리 역시 4분기 3만 8천 개 감소하면서 11분기 연속 감소했습니다.

제조업 취업자 비중은 올해 1∼4월 15.5%를 기록해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장기 불황에 빠진 건설업이 작년 내내 반등의 계기를 찾지 못하고, 제조업 경기 회복은 고용유발계수가 낮은 반도체 중심으로 이뤄지면서 '양질의 일자리'로 꼽히는 제조업·건설업 고용 시장이 직격탄을 맞은 것입니다.

내수 경기와 밀접한 숙박 및 음식점업 신규 일자리도 24만 4천 개에서 23만 1천 개로 1만 3천 개 줄었습니다.

도매 및 소매업 신규 일자리도 1만 6천 개 감소했습니다.

2년 연속 이어진 저성장 상황에 12월 비상계엄 사태까지 더해지면서 소비 심리가 얼어붙은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신규 일자리가 유의미하게 늘어난 산업은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4만 3천 개)였습니다.

다만 이는 공공일자리와 단기·임시직 비중이 높은 업종이라 양질의 일자리로 보기는 어렵다는 분석이 많습니다.

이처럼 고용 한파가 계속되는 상황이지만, 이번 6·3 대선에서는 '일자리 공약'이 사실상 뒷전으로 밀려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공정한 노동환경 보장, 산재보험 제도 개선, 하청노동자 교섭권 보장 등을 공약으로 내세웠지만 답답한 고용 상황과 관련한 직접 해법은 내놓지 않았습니다.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 또한 대기업 신입 공채 도입 장려 등의 공약을 내놨으나 구체적인 전략이 없는 아이디어 수준에 그쳤다는 평가입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2025 국민의 선택 대선 특집 바로 가기
댓글 아이콘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