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승영 전 국수본 수사기획조정관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간부가 비상계엄 당일 국군 방첩사령부의 체포조 지원 요청을 받아 국수본 2인자인 윤승영 전 수사기획조정관(치안감)에게 보고했다고 법정에서 증언했습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지귀연 부장판사)는 오늘(21일) 조지호 경찰청장과 윤 전 조정관 등 경찰 지휘부의 내란 중요임무 종사 혐의 사건 공판을 열었습니다.
증인으로 출석한 이현일 전 국수본 수사기획계장은 지난해 12월 3일 구민회 방첩사령부 수사조정과장으로부터 "방첩사에서 국회에 체포조를 보낼 건데 인솔하고 같이 움직일 형사 다섯 명이 필요하다"는 전화를 받았다고 진술했습니다.
이 전 계장은 이후 상관인 윤 전 조정관에게 전화해 방첩사에서 연락받은 내용을 그대로 보고했다며 "'국수본에서 지원을 해달라고 하는데 인력이 없으니 영등포(서)에서 하는 게 좋겠다'고 했다"고 말했습니다.
이 전 계장은 또 이후 통화에선 윤 전 조정관이 자신에게 "청장님 보고드렸다. 영등포 형사(를) 사복으로 보내줘라"라는 말을 했다고도 진술했습니다.
방첩사의 체포 지원 요청이 이 전 계장을 거쳐 윤 전 조정관에게 전달됐고, 윤 전 조정관이 이를 조 청장에게 보고해 승인·지시를 받았다는 검찰 조사 내용을 뒷받침하는 증언입니다.
이 전 계장은 지난 기일 때 증언한 대로 방첩사가 누구를 체포하러 간다고 생각했는지와 관련해 "국회에 출동하니 국회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했다. 의원도 배제할 수 없다는 취지"라고 답했습니다.
다만 그는 "방첩사가 자체 계획으로 움직일 텐데 현장을 인솔해달라니까 저희는 이동을 안내하는 개념으로 이해했다. 체포를 하는 건 방첩사 역할"이라며 경찰과 체포조 활동의 연관성은 거듭 부인했습니다.
재판부는 오후 이 전 계장에 대한 증인신문을 마무리한 뒤 전창훈 전 국수본 수사기획담당관에 대한 증인신문을 이어서 진행할 예정입니다.
한편, 재판장인 지 부장판사는 자신에 대해 제기된 '룸살롱 접대 의혹'과 관련해서는 이날 특별한 언급을 하지 않았습니다.
지 부장판사는 그제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혐의 재판에 앞서 법정에서 "의혹 제기 내용은 사실이 아니고 그런 데 가서 접대받는 건 생각해본 적 없다"고 밝혔으나, 이후 더불어민주당이 공개한 사진과 관련해서는 별도 입장을 밝히지 않았습니다.
(사진=연합뉴스)
댓글 아이콘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