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커지는 가계대출…5대 은행 보름 새 2.9조 늘어

커지는 가계대출…5대 은행 보름 새 2.9조 늘어
주요 시중은행의 가계대출이 이달 들어 보름 사이 3조 원 가까이 불었습니다.

금리가 떨어지면서, 돈을 빌려 주택이나 주식 등 자산을 사들이는 경향이 강해지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여기에 7월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시행에 앞서 미리 대출을 받아두려는 선수요도 겹쳐 다음 달까지 가계대출 증가세는 쉽게 꺾이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됩니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15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745조 9천827억 원으로, 4월 말(743조 848억 원)보다 2조 8천979억 원 많습니다.

이 추세라면 이달 전체 증가액은 약 5조 8천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증가 폭이 지난달(+4조 5천337억 원)보다 1조 3천억 원가량 넘어 2024년 8월(+9조 6천259억 원) 이후 최대 규모에 이를 수 있는 것입니다.

5대 은행 가계대출은 지난해 8월까지 치솟았다가 9월 이후 금리 인상과 당국·은행권의 가계대출 총량 규제로 꾸준히 줄었고, 올해 1월에는 가계대출이 전월보다 4천762억 원 줄었습니다.

하지만 연초 금리 인하와 규제 완화 등으로 2월(+3조 931억 원) 반등한 뒤 3월(+1조 7천992억 원)과 4월(+4조 5천337억 원) 계속 늘었고 5월까지 증가 기조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달 가계대출을 종류별로 나눠 보면, 주택담보대출(전세자금대출 포함) 잔액은 591조 1천678억 원으로 4월 말보다 1조 7천378억 원 불었습니다.

신용대출(잔액 103조 5천870억 원)도 보름 새 1조 939억 원 늘어 4월 전체 증가액(8천868억 원)을 이미 넘어섰습니다.

최근 가계대출 증가의 원인으로는 금리 하락이 꼽힙니다.

기준금리가 작년 11월과 올해 2월 0.25%포인트(p)씩 두 차례 인하됐고, 시장금리도 떨어지면서 대출자의 금리 부담이 많이 줄었습니다.

예를 들어 KB국민은행의 16일 기준 신용대출 금리(금융채 1년·신용 1등급·3.57∼4.57%)는 하단 금리 기준으로 2021년 10월 말(3.47∼4.47%) 이후 약 3년 7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신규코픽스·6개월 주기·4.05∼5.45%)와 고정금리(금융채 5년·3.48∼4.88%)도 각 지난해 6월 말(3.74∼5.14%), 7월 말(3.34∼4.74%) 이후 약 11개월, 10개월 내 최저입니다.

여기에 지난 2월 서울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등 규제 완화까지 더해져 2∼3월 주택 거래가 급증했고, 그 여파가 시차를 두고 가계대출에 반영되고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2025 국민의 선택 대선 특집 바로 가기
댓글 아이콘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