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는 올해 제1차 추가경정예산(추경)으로 정책금융 4조 2천억 원을 추가 공급한다고 오늘(13일) 밝혔습니다.
미국 관세조치와 내수 부진 등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 정책자금은 1조 7천억 원이 배정됐습니다.
미국 관세 직·간접 피해기업들을 지원하기 위해 신설한 통상환경변화 위기 극복 특례보증에 1조 2천억 원을 투입합니다.
특례보증 지원 대상은 미국 관세 영향에 따른 위기 산업을 영위하는 직·간접 피해 중소기업 또는 기회 산업을 영위하는 우수기술 기업들입니다.
보증 비율과 보증료율은 지원 대상별로 차등적으로 우대 지원합니다.
나머지 5천억 원은 통상리스크 대응 긴급자금 1천억 원과 긴급 경영안정 자금 3천억 원, 신시장 진출 지원자금 1조 원이 각각 책정됐습니다.
통상리스크 대응 긴급자금은 미국 품목 관세 관련 업종을 영위하거나, 미국 수출 비중이 높은 기업 중 경영 애로를 겪는 중소기업들을 폭넓게 지원하기 위해 올해 한시적으로 신설한 자금입니다.
소상공인을 위한 정책금융은 2조 5천억 원이 공급됩니다.
지역 신용보증재단 신규 보증도 2조 원 규모가 책정됐습니다.
중기부는 본예산 신규 보증 12조 2천억 원에 더해 올해 14조 4천억 원을 신규 공급합니다.
또 시중은행을 통한 대리대출을 해주는 일반경영안정자금은 1천400억 원, 중·저신용 취약 소상공인 지원 자금인 신용취약자금은 2천400억 원, 소상공인들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뒷받침하는 혁신성장촉진자금은 1천2조 원 각각 증액됐습니다.
중기부는 올해 정책금융 본예산 26조 5천억 원에 추경을 더한 30조 7천억 원을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유동성 보강을 위해 지원합니다.
중기부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의 유동성 공급이 시급한 상황인 점을 고려해 이번 추경 정책금융을 신속 집행 체계로 공급할 계획입니다.
(사진=중소벤처기업부 제공, 연합뉴스)
중기부, 추경 정책금융 4조 2천억 원 푼다…"신속 집행"
입력 2025.05.13 14:29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아이콘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