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서울-베이징, 6년 만에 관광 활성화 간담회

서울-베이징, 6년 만에 관광 활성화 간담회
서울시와 중국 베이징시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6년 만에 양 도시의 관광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서울시는 지난 12일 시청에서 베이징시 문화여유국 대표단과 '서울-베이징 관광정책 간담회'를 열었다고 밝혔습니다.

간담회는 한·중 관광자원 교류와 관광객 유치를 위한 실질적인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자 마련했으며, 구종원 서울시 관광체육국장과 손지앤 베이징시 문화여유국 부국장 등 양 도시 정책 관계자 12명이 참석했습니다.

서울시와 베이징시는 2013년 관광 협력 협약 체결 후 공동 관광설명회 개최, 공동 홍보·마케팅 등을 활발하게 추진해 왔습니다.

2019년 이후 팬데믹 등으로 공식적인 교류가 잠시 중단된 상태였으나 한중 관광 교류가 최근 빠른 회복세를 보이면서 6년 만의 대면 간담회가 성사됐습니다.

간담회에서 구종원 국장은 사계절 내내 즐거운 '펀(FUN) 시티'를 목표로 '쉬엄쉬엄 한강 3종 축제' 등 서울 도심 곳곳에서 개최되는 외국인 참여 축제를 소개했습니다.

아울러 최근 베이징시의 중축선(中軸線)이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된 데 대한 축하 인사를 전했습니다.

손지앤 부국장은 서울의 인바운드 관광 실적과 해외 홍보 전략이 매우 인상적이라고 언급했습니다.

그러면서 베이징도 중국 인바운드 관광시장에서 제1의 도시로 거듭나기 위해 서울시만의 경험과 전략을 참고하고 싶다는 협력 의지를 내비쳤습니다.

정부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을 찾은 중국인 관광객은 방한 외래관광객 중 가장 높은 비율(28%)인 460만 명으로 전년 대비 127% 증가했습니다.

중국을 방문한 한국인 관광객 역시 전년보다 115% 늘어난 231만 명으로 회복세를 나타냈습니다.

이러한 추세를 반영해 지난해 11월 중국 정부는 한국인 대상 관광 목적 무비자 입국을 재개했고, 한국 정부 또한 상호 조치로 중국 단체관광객에 대한 한시 비자면제를 3분기 중 시행할 예정입니다.

시는 중국을 포함해 외국인 관광객의 서울 방문을 확대하고자 공격적인 마케팅을 이어갈 계획입니다.

혼자서도 안전하고 즐길 거리 넘치는 관광도시라는 이미지 확산에 주력하는 한편 유럽, 중국 등 해외 현지에서 서울을 홍보하는 관광 로드쇼도 엽니다.

시는 '3·3·7·7(연간 해외관광객 3천만 명·1인당 지출액 300만 원·체류기간 7일·재방문율 70%) 관광시대' 달성이라는 관광 미래비전을 세운 바 있습니다.

(사진=서울시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2025 국민의 선택 대선 특집 바로 가기
댓글 아이콘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