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취재파일

[취재파일] 연사의 눈으로 본 SBS X 그랜드 퀘스트 ①

이준호 교수 세션 사진
안녕하세요? 지난달 24일, 제1회 <SBS X 그랜드 퀘스트>-'기술주권 확보, 그 10가지 질문'라는 과학기술계 전문가 포럼을 서울대와 공동주최로 잘 마무리했는데요. <SBS X 그랜드 퀘스트>는 앞으로 10~15년 뒤 대한민국의 '기술주권'을 염두에 둔 과학, 기술계의 중∙장기적인 연구들을 소개하고, 산학이 같이 모여 관련 분야를 토론하는 자리였습니다. 그러다 보니 SBS가 20년째 기획해 온 SDF(SBS D포럼)와는 달리 해외연사도 없고, 대중포럼이 아니다 보니 내용도 관련 분야의 사람들이 아니면 어려워서, 어떻게 하면 전공자가 아니더라도 관심을 가지고 볼 수 있게 쉽게 다가갈 수 있을까가 저희에게는 큰 도전과제였는데요.

·장기적 과학기술계 포럼, 희망을 전하다!

sbs x 그랜드 퀘스트 풀샷
포럼을 보다 느낀 것은 워낙 우리 과학기술계의 저명한 석학들과 업계 최고 리더들 간의 토의여서 그런지 '10년 안에는 반드시 된다', '꼭 이룰 수 있다'는 식의 희망적인 얘기들이 계속 전해져, 최근 어디서 이렇게 희망적인 얘기를 들었던 곳이 또 있었나 싶을 정도로 사회적인 이슈를 다루는 포럼과는 분위기가 확연히 달랐습니다.

그렇다면 <SBS X 그랜드 퀘스트>에 참여한 연사들은 제1회 <SBS X 그랜드 퀘스트>를 어떻게 느꼈을까요? 오늘은 파트1 (역노화 기술, 신종 바이러스 예방 백신, 공간 디스플레이) 세션에 참여한 연사들의 피드백을 중심으로 정리해 봤습니다.

기초과학의 중요성 부상!

이준호 교수-작은보호탑해파리
<'저속노화를 넘어선 역노화 가능한가?' 세션에서 발표 중인 이준호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이준호 교수 워딩
이준호 교수는 지난 30년간 예쁜꼬마선충 연구를 수행해 온 석학입니다. 제1회 <SBS X 그랜드 퀘스트>에서는 이승재 KAIST 생명과학과 교수와의 공동연구를 중심으로 역노화 기술 세션을 이끌어 주셨는데요. 이준호 교수는 늙었다가도 먹이가 없어지면 젊어지고 다시 늙는 생물학적으로 역노화가 가능한 생물체인 '작은보호탑해파리'의 원리를 인간에게도 적용할 수는 없는지에 대한 질문을 던졌습니다. 특히 현재 존재하는 역노화의 한계인 '암 발생 가능성'이라든지, '역노화 자체의 위험성', '파편적 연구의 한계', 그리고 '인간연구의 어려움' 등을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지 이준호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를 중심으로 이승재 KAIST 생명과학과 교수, 박원석 아모레퍼시픽 R&I 선행뷰티연구소장, 정현호 메디톡스 대표가 같이 머리를 맞댔습니다. 기존에 하던 것이 아닌 연구이다 보니 새로운 도전, 특히 기초과학이 연구의 중요한 기반이 될 수밖에 없었습니다.
역노화 세션 풀샷
<역노화 세션에 참여 중인 이준호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이승재 KAIST 생명과학과 교수,
박원석 아모레퍼시픽 R&I 선행뷰티연구소장과 정현호 메디톡스 대표, 김소원 SBS 아나운서>

산학이 같이 머리를 맞댄 플랫폼

<SBS X 그랜드 퀘스트>에서는 산학 간의 연계를 중요한 특징으로 잡고 있는데요. 지난해 8월 '네이처'지에서 한국 특집호를 내면서 국내과학기술계의 약점으로 산학 간 낮은 연계성을 지적한 것 등이 고려가 되었습니다.
아모레퍼시픽 박원석 소장
<업계에서는 역노화에 대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를 발표한 박원석 아모레퍼시픽 R&I 선행뷰티연구소장>
박원석 아모레퍼시픽 소장 피드백
현장질문에서는 반려동물에 대한 역노화 연구도 이뤄지고 있는지, 영양제는 뭘 먹어야 하는지 같은 삶에 밀접한 질문들도 많이 제기돼 역노화 주제에 대한 큰 관심을 보여주었습니다.
역노화 D리 섬네일
바로보기

생생한 현장 경험의 공유

두 번째 세션은 '아직 등장하지 않은 새로운 바이러스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백신을 선제적으로 개발할 수 있을까'라는 주제 아래 김훈 SK바이오사이언스 Global Biz대표, 신의철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 박수형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가 함께 한 세션이었습니다.
김훈대표 사진 SK바이오사이언스
<코로나19 팬데믹 당시의 경험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김훈 SK바이오사이언스 Global Biz 대표>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아스트라제네카, 노바백스와의 협력을 통해 신속하고 안정적인 백신 공급을 주도하고 CEPI [1] 및 게이츠 재단과의 연계를 통해 국내 코로나 백신 '스카이코비원'의 개발을 현실화했던 김훈 대표는 당시의 경험을 바탕으로 범용성, 분산형 등 유연한 구조, 그리고 파트너십 기반의 국제협력을 강조했습니다.

특히 학계 연사인 신의철, 박수형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는 기존의 중화항체를 이용한 세포의 바이러스 침투를 예방하는 방법이 아닌 T세포 면역을 이용하면 감염된 세포를 제거함으로써 더 증식되지 못하는 방법을 통해 미래에 나타날 감염병의 백신도 미리 만들 수 있지 않을까 그 가능성을 제시했습니다.

[1] CEPI (Coalition for Epidemic Preparedness Innovations)는 감염병 혁신연합으로 신종감염병 백신 개발 및 비축 등을 위한 재원 마련을 목적으로 2017년 세계경제포럼을 계기로 출범한 글로벌 민관협력파트너십이다.
박수형, 신의철 교수 사진 KAIST 의과학대학원
<신종 바이러스 예방백신 세션에서 발표 중인 박수형, 신의철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
김훈대표 피드백
신종 감염병 예방 백신 D리 섬네일
신종 감염병 다시보기

경쟁자도 협력의 파트너가 되는 장

세 번째 세션은 '현실과 화면의 경계를 허문 디스플레이가 가능한가'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이 세션을 이끈 홍용택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는 지난 21일 2025년 과학정보통신의 날을 맞아 정부 훈장을 수상하기도 한 신축성 전자 시스템 분야의 대표적인 국내 석학인데요.

SDF2010 때 기조연사로 왔던 제임스 캐머런 '아바타'의 감독이 강조했던 3D기술이 당시에는 왜 성공하지 못했는지 그리고 영화에 나오는 미래 기술들은 대개 20~30년 후에는 우리 일상에서도 나타난다면서 지금의 신축성 디스플레이의 연구 단계는 어느 정도인지 그리고 현실과 화면의 경계를 허문 디스플레이는 언제쯤 나올 수 있을지 등에 대해 전했습니다.
홍용택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사진
<공간디스플레이 세션 강연 중인 홍용택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홍용택 교수 피드백
이 세션에서는 홍용택 교수 외에도 2013년 한국공학한림원에서 "대한민국을 이끌 100대 기술과 그 주역"으로 선정되었던 박재형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와 업계의 리더인 김기홍 LG디스플레이 차세대 디스플레이 담당과 홍종호 삼성디스플레이 연구소 마스터도 같이 해주었는데요.
공간 디스플레이 세션 사진
<공간디스플레이 세션의 학계 연사(위) 박재형(좌), 홍용택(우)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와
업계 연사(아래) 김기홍 LG디스플레이 차세대 디스플레이 담당(좌)과 홍종호 삼성디스플레이 연구소 마스터(우)>

2004년부터 17년간 세계 1위를 지켜온 디스플레이 시장이 2021년 이후 중국에 1위 자리를 내놓은 상황에서 학계와 업계가 힘을 모아 기술력으로 주권을 탈환하기 위해 집단지성을 모았습니다.
박재형 교수 피드백
김기홍 담당 피드백
공간디스플레이 D리 섬네일
공간 디스플레이 다시보기
지난 7일 낮 1시부터 사흘에 걸쳐 일부 강연 내용들이 <SBS X 그랜드 퀘스트> 스페셜로 TV편성되었고 마지막 네 번째 편인 '포스트 실리콘 반도체, 뉴로모픽 아키텍처, 가상현실과 뇌내현실 세션은 11일 밤 12시 20분에 SBS TV를 통해 방송될 예정입니다. 10년 뒤 우리나라가 기술주권을 가질 가능성이 높은 과학기술계의 화두들은 무엇인지 끝까지 많은 관심 가져주시길 바랍니다.

*<SBS X 그랜드 퀘스트> 스페셜 강연들을 다시 보고 싶다면?
--> https://programs.sbs.co.kr/culture/grandquests/vods/863601️⃣ 5월 7일 낮 1시
-역노화 기술+머리카락 100만 분의 1 반도체
2️⃣ 5월 8일 낮 1시
-공간 디스플레이+온실가스로 플라스틱을 만든다
3️⃣ 5월 9일 낮 1시
-신종 바이러스 예방 백신+ 효율60% 태양전지+ 일반인공지능 인간의 공존
4️⃣ 5월 11일 밤 12시 20분
-포스트 실리콘 반도체 소자+뉴로모픽 아키텍처+가상현실과 뇌내현실


파트2, 파트3에서 같이한 연사들의 이야기도 다음 주 이어서 전해드리겠습니다!
글: 이정애 기자, calee@sbs.co.kr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2025 국민의 선택 대선 특집 바로 가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