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대통령이 연루된 채 해병 순직 사건 외압 의혹을 수사하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대통령실 압수수색에 나선 지 이틀만에 일부 자료를 확보했습니다.
공수처는 오늘(8일) "오전부터 실시한 대통령 비서실·안보실 대상 압수수색은 오후 4시30분께 종료됐다"며 "대상 기관의 협조 하에 순조롭게 진행됐다"고 밝혔습니다.
오늘 압수수색은 대통령실에 영장을 제시한 뒤 협의를 통해 필요한 자료를 임의제출받는 방식으로 이뤄진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공수처는 어제 대통령비서실과 국가안보실의 압수수색을 시도했다가 6시간 만에 집행 중지한 뒤 오늘 오전 10시 30분쯤 재개했습니다.
압수 대상에는 이른바 'VIP 격노설'이 제기된 2023년 7월 31일 전후 시점의 대통령실 회의 자료와 출입 기록, '02-800-7070' 번호의 서버 기록 등이 포함됐으며 일부 주요 자료의 확보에 성공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공수처의 대통령실 압수수색이 성사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1월에도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해 한남동 대통령 관저와 대통령실 압수수색에 나섰으나 불발됐습니다.
형사소송법 제110·111조에 따르면 군사상·공무상 비밀을 요하는 장소 등은 책임자의 승낙 없이 압수수색할 수 없습니다.
공수처는 해병대 수사단이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등을 2023년 7월 채 상병 순직 책임자로 지목해 경찰에 넘기는 과정에서 윤 전 대통령과 대통령실·국방부 관계자들이 외압을 행사했다는 의혹을 수사 중입니다.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은 수사단의 조사 결과를 결재했다가 이튿날 번복했는데, 대통령실 회의에서 수사 결과를 보고받은 윤 전 대통령이 격노하면서 이 전 장관을 질책했기 때문이라는 게 'VIP 격노설'의 뼈대입니다.
이 전 장관은 2023년 7월 31일 오전 11시 54분 대통령경호처 명의의 '02-800-7070' 번호로 걸려 온 전화를 받아 2분 48초간 통화했고, 직후 해병대의 수사결과 경찰 이첩 보류 및 언론 브리핑 취소를 지시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압수수색 영장에는 윤 전 대통령과 이 전 장관이 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혐의를 받는 피의자로 적시됐습니다.
공수처, 대통령실 압수수색 종료…"일부 자료 확보"
입력 2025.05.08 18:10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아이콘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