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역 백신
전 세계적인 홍역 유행이 지속되면서 '홍역 퇴치국가'인 우리나라도 올해 홍역 환자가 2019년 이후 6년 만에 가장 많았습니다.
해외여행이 늘고 노인 인구가 증가하면서 홍역 외에도 사라진 줄 알았던 질병들이 다시 나타나고 있습니다.
◇ 올해 홍역 환자 50명 넘어서…베트남 등서 유입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1일까지 신고된 홍역 환자는 모두 52명입니다.
지난해 1년 전체 홍역 환자 49명을 이미 넘어섰고, 2019년(연간 194명) 이후 6년 만에 최다 기록을 세웠습니다.
국내 홍역 환자는 코로나19 기간이던 2020년 6명, 2021년과 2022년엔 0명이었고, 이후 2023년엔 8명을 기록했습니다.
우리나라는 세계보건기구(WHO)가 인증한 홍역 퇴치 국가입니다.
2001∼2002년 홍역 대유행 시기 5만 5천여 명의 환자가 나왔다가 정부의 집중적인 퇴치사업으로 환자가 급감하며 2006년 홍역 퇴치 선언을 했습니다.
이어 WHO가 강화한 인증 기준에 따라 2014년 홍역 퇴치국 인증을 받아 현재까지 지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소규모 환자 발생이 이어지고 있는데도 홍역 퇴치국 지위가 유지되는 것은 국내 환자 대부분이 해외 유입 사례이기 때문입니다.
올해 환자 52명 가운데 34명이 해외에서 감염돼 들어온 사례이고, 나머지 18명은 이들 해외유입 환자를 통해 가정이나 의료기관에서 감염됐습니다.
해외유입 대다수는 베트남발 감염입니다.
질병청 관계자는 "전 세계적으로 홍역 발생이 증가하고 있어 해외 유입 사례들은 앞으로 더 늘어날 것"이라면서도 "국내 접종률이나 감시체계 등이 안정적인 상황이어서 급속히 확산할 가능성은 작다"고 말했습니다.

◇ 고령화 속에 결핵·옴 발생도 이어져 사라진 줄 알았는데 아직도 환자가 이어지고 있는 질병은 홍역만이 아닙니다.
홍역과 함께 '후진국형 감염병'으로 여겨지는 결핵도 여전히 국내에서 환자가 나옵니다.
질병청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결핵 환자는 1만 7천944명이었습니다.
2011년 5만 491명에서 13년 연속 감소세이긴 하지만 여전히 만 명대의 환자가 기록되고 있어 2030년 퇴치 목표 달성이 쉽지만은 않은 상황입니다.
이젠 거의 잊힌 '옴'도 여전히 한 해 수만 명을 괴롭힙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옴진드기로 인한 피부질환인 옴 진료 인원은 2019년 4만 1천297명, 2020년 3만 6천579명, 2021년 2만 9천693명, 2022년 3만 697명, 2023년 3만 4천921명입니다.
지난해의 경우 1∼8월 3만 1천773명이 진료를 받았습니다.
홍역이나 결핵, 옴이 완전히 퇴치되지 않고 오히려 일부 늘어나기도 하는 데엔 해외여행이 늘어난 영향도 있습니다.
홍역의 경우 최근 백신 접종률이 낮아진 미국을 비롯해 전 세계에서 유행해 후진국형 감염병이란 말이 무색해졌습니다.
결핵과 옴 발생은 고령화와도 관련이 있습니다.
질병청 관계자는 "1950∼1960년대 빈곤한 시절에 결핵균에 감염됐던 사람들이 나이가 늘어 발병하는 경우가 많다"며 "이 때문에 초고령사회로 접어들면서 결핵 환자 감소세가 완만해질 수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옴 역시 집단시설에 입소한 고령층을 중심으로 발병하고 있어 방역당국이 옴 예방 안내서를 제작해 요양병원 등에 배포하고 있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TV 제공, 연합뉴스)
댓글 아이콘댓글